산업 기업

정영철 위자드랩 대표 "올 상반기에만 60억...친숙한 디자인으로 ‘카카오프렌즈 키즈워치’ 인기 얻었죠"

출시하자마자 연 70억 수입 예상

'원격 통화' 등 안전기능 多 갖춰

LTE로 아이 위치 금세 파악해

AI기반 목소리 인식률도 제고




“기존에도 아이의 안전을 걱정하는 부모님들을 위한 키즈워치가 다양하게 출시돼 왔습니다. 하지만 3세대(G) 통신기술 기반 제품이 훨씬 많았죠. 롱텀에볼루션(LTE) 이동통신 기술을 활용해 훨씬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신개념 키즈워치를 개발하게 된 이유입니다.”

정영철(53·사진) 위자드랩 대표는 4일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올해 ‘카카오프렌즈 키즈워치’를 출시했는데, 시장 반응이 기대 이상 좋아 캐파(총생산능력)를 넘겨서 생산할 정도였다”며 “상반기에만 카카오프렌즈 키즈워치에서 매출 60억원을 기록했으며, 올해 전체로는 이 키즈워치에서 70억~75억원의 매출을 거둘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LTE 기술을 토대로 부모가 자녀의 위치와 동선을 파악하고, 언제든지 연락까지 취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특히 아이가 키즈워치로 전화를 걸지 않더라도 부모가 직접 원격으로 조종해 직접 통화연결이 가능한 ‘나에게 전화’ 기능, 그리고 자녀 위급상황에 대비한 ‘긴급호출’ 모드를 탑재해 어떤 상황에서든 아이의 동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음성 인공지능(AI) 플랫폼을 활용해 일상대화, 한영사전, 날씨확인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특히 AI를 통해 아이가 주로 쓰는 단어나 억양, 문장 패턴을 학습해 아이 목소리를 더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여기에 업계에선 처음으로 ‘아이 목소리’로 해당 AI 서비스를 제공해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키즈워치를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정 대표는 “가령 목소리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에도 ‘잘 못 알아들었어요, 다시 말씀해주세요’가 아니라 ‘소리가 안 들려! 마이크를 눌러 줘’라고 답해 실제로 아이들끼리 대화하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외형뿐 아니라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도 카카오프렌즈 캐릭터를 활용해 아이들이 키즈워치를 더욱 친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정 대표는 “저희 제품의 가장 큰 강점은 아무래도 국민 캐릭터 카카오프렌즈 디자인을 적용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프렌즈 키즈워치./사진제공=위자드랩카카오프렌즈 키즈워치./사진제공=위자드랩


위자드랩이 키즈워치 개발에 나섰던 건, 시중에 LTE 기반 키즈워치가 나와 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정 대표는 “개발을 고려하던 2016~2017년 당시만 하더라도 LTE로 통신기술의 중심축이 옮겨가고 있었는데, LTE를 활용한 키즈워치는 아직 출시가 안 된 상황이었다”며 “실제로 저희 카카오프렌즈 키즈워치가 국내 첫 LTE 기반 키즈워치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초 설계부터 기술개발까지는 1년이 걸렸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물론이고, 금형 설계, 인쇄회로기판(PCB) 등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개발인증절차 등 사실상 모든 사업과정을 위자드랩 혼자서 다 거쳤다. 특히 정 대표는 SOS버튼의 RF신호(무선 등에 사용하는 고주파신호)를 잡는 게 특히 어려웠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다른 키즈워치와 달리, 우리 제품은 고무 케이스를 쓰고 있어서 SOS버튼의 RF신호을 잡는 데 애로사항이 있었다”면서도 “다행히도 우리 기술로 이 문제를 해결해낼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그러나 원래부터 LTE 관련 통신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개발에 착수하는 데는 무리가 없었다. 위자드랩은 2012년 7월 설립돼 국내 이동통신 대기업은 물론이고 버라이즌(Verizon)과 교세라(Kyocera) 등 해외 기업에도 2~4G 소프트웨어를 공급해왔다. 2014년엔 통신 소프트웨어 수출 100만달러를 달성하기도 했다.


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