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심장 펌프질 약해지면 신부전 위험 최고 9배

김세중·한승석 서울대 교수팀

좌심실 이완·수축 기능 이상

급성 콩팥손상도 2.3배 높아

김세중(왼쪽) 분당서울대병원·한승석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김세중(왼쪽) 분당서울대병원·한승석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



심장에서 혈액을 펌프질하는 좌심실의 이완·수축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콩팥(신장) 손상 위험이 최대 8.8배까지 커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입원 환자 가운데 두 기능 모두 하위 25%에 속하면 상위 25%보다 급성 콩팥손상 위험이 2.3배, 투석치료를 받아야 하는 콩팥기능부전(신부전) 위험이 8.8배나 높았다.

13일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김세중 교수와 한승석 서울대병원 교수(신장내과)팀이 지난 2013년 분당서울대병원에 입원한 2만1,574명 중 입원 전 심장초음파 검사를 받은 1,327명(평균 66.2세)을 좌심실의 기능에 따라 네 그룹으로 나눠 2015년 8월까지 추적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분석 결과 심장 기능이 나쁘거나 고령이어서 수술 중 심근경색·심정지 등 심장관련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심장초음파 검사를 받은 입원환자 1,327명 중 15.8%(210명)는 입원 당시 이미 급성 콩팥손상 상태였다. 나머지는 콩팥 기능이 정상이거나 만성 콩팥병 중간 단계였다.

좌심실의 이완 기능이 떨어지는 하위 25% 그룹은 상위 25%에 비해 급성 콩팥손상 위험은 1.9배, 콩팥기능부전 위험은 4.1배였다. 좌심실의 수축기 심장박출률 하위 25% 그룹의 급성 콩팥손상 위험은 1.6배, 콩팥기능부전 위험은 1.3배였다. 이완·수축 기능 모두 하위 25%에 속한 입원환자들은 상위 25%에 비해 급성 콩팥손상 위험은 2.3배, 콩팥기능부전 위험은 8.8배로 격차가 더 벌어졌다.

1415A31 좌심실 기능저하군의 콩팥병 발생위험


좌심실의 이완기 팽창능력이 약하고 뻣뻣할수록 좌심방으로부터 혈액을 받는 능력이 떨어진다. 수축기 심장박출률이 낮다는 것은 산소·영양분을 실은 신선한 혈액이 좌심실에서 온몸으로 많이 공급되지 못한다는 것을 뜻한다. 콩팥기능부전은 콩팥의 기능이 정상의 10% 이하로 떨어져 투석이 필요한 상태다. 급성 콩팥손상은 혈청 크레아티닌이 0.3㎎/㎗ 또는 1.5배 이상 증가한 경우다.


김세중 교수는 “심장 초음파로 확인할 수 있는 좌심실의 기능이상만으로도 급성 콩팥손상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게 이번 연구의 주요 성과”라며 “좌심실의 이완·수축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서 콩팥손상 위험이 증가하는 만큼 심장초음파 결과를 바탕으로 콩팥 건강에 대해 더 면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김 교수는 또 “상위 25%에 드는 입원환자의 좌심실 기능은 정상인 수준”이라며 “콩팥 기능이 나빠질 위험이 높은 하위 25% 등에는 콩팥에 부담이 덜 가는 약을 쓰고 기능검사, 빈혈·전해질장애 등 합병증 감시를 자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연구결과는 신장학 국제학술지(BMC nephrology) 10월호에 발표됐다.

심장은 우리 몸속에서 혈액이 순환하도록 피를 받아들이고 내보낸다. 콩팥은 몸속 노폐물을 걸러 소변으로 배출하고 비타민D3 활성화, 레닌·조혈호르몬 분비, 세포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체액의 산성도·전해질·수분을 조절한다. 심장과 콩팥은 혈압·빈혈·전해질·체액량을 함께 조절하며 서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느 한 쪽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장기에도 이상이 생길 수 있다. 콩팥병의 대표적 증상은 고혈압·다리부종·빈혈 등이며 만성 콩팥병 환자는 소변에 피·단백질 등이 섞여 나오기도 한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