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중앙부처·지자체, 똑똑한 전자정부 구현 위해 협업 강화

행안부, 지능형정부 구현 위한 범정부 협의체 가동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지능정보기술을 적용해 전자정부를 더 똑똑하게 만드는 ‘지능형정부 로드맵 수립’을 위해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머리를 맞댄다.

행정안전부는 19일부터 20일까지 서울청사와 세종청사에서 중앙부처·지자체 정보화담당 및 업무담당자들이 지능형정부 로드맵 추진계획 공유 및 실행과제를 논의하는 범정부 협의체를 발족한다고 18일 밝혔다.


행안부는 지난 9월부터 지능형정부 청사진을 제시하는 로드맵 수립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민·학계·업계 등 민간전문가로부터 지능형정부에 대한 요구사항 및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또 전자정부 서비스를 운영하는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무원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지난 10월 지능형정부 추진과제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해 37개 기관으로 부터 52개 과제를 제출받았다.



기관 수요조사 결과 과제수가 가장 많은 분야는 행정업무 및 법규 안내, 민원상담 등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대국민 민원 챗봇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국민생활, 재난·재해, 범죄예방, 시설물 등 사회 각 분야에 AI 사물인터넷(IoT) 등 지능정보기술과 폐쇄회로(CC)TV 등 기반인프라를 결합해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는 과제가 많았다. 독거노인, 취약계층 등을 위한 사회복지 분야와 국고보조 부정수급 방지 등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정부 업무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과제도 다수 제출됐다.

행안부는 이번 협의체 운영을 통해 각 기관에서 수요를 제출한 과제에 대한 실현가능성, 법·제도 제약사항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기관별로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과제를 통합하고 여러 기관으로 확장이 가능한 분야 등을 집중 논의해 과제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정윤기 행안부 전자정부국장은 “지능형정부 로드맵 수립 과정에 전자정부 실무를 가장 잘 이해하는 업무담당자들이 참여하게 되어 실효성 높은 서비스가 발굴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지능정보기술을 행정전반에 적용해 국민이 원하는 지능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