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미래車 기술에 뇌공학 심는 현대차

'현대 비저너리 챌린지' 출범

美 브라운大와 첫 협업 진행

미국 브라운대의 아릿 아후자(왼쪽 두번째부터), 브리트니 백스터, 알베르토 보르토니, 데이비드 휘트니 등 ‘현대 비저너리 챌린지 2018’ 수상팀 대표들이 현대차그룹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미국 브라운대의 아릿 아후자(왼쪽 두번째부터), 브리트니 백스터, 알베르토 보르토니, 데이비드 휘트니 등 ‘현대 비저너리 챌린지 2018’ 수상팀 대표들이 현대차그룹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


현대자동차그룹이 뇌공학·생물학·심리학 등 이종 분야와의 적극적인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이동성)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역량과 기술확보에 나선다.

현대차(005380)그룹은 19일 이종 분야에서의 최고 기술력을 가진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협업 프로젝트인 ‘현대 비저너리 챌린지’를 출범하고 미국 브라운대과 첫 번째 협업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미국 동부 명문 아이비리그 대학 중 하나인 브라운대는 인간 두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차세대 신기술 ‘두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분야의 선두주자다.


현대차그룹은 뇌공학과 자동차 산업 간의 연계 가능성에 주목해 브라운대와 협업을 진행했으며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주제로 △생체 모방 모빌리티 △인간과 기계 간 파트너십 △데이터 기반 개인화 서비스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번 챌린지에는 박쥐의 신체구조와 비행법의 원리를 소형 비행체에 적용하는 ‘항공 로보틱스’를 비롯,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해 자연언어로도 기계·로봇과 소통할 수 있는 상호작용 채널,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해 운전 중 불안감에 대한 피드백을 줘 자율주행차에 대한 불안감을 불식시키는 아이디어 등이 채택됐다. 현대차그룹은 이번에 선정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추후 각 팀과 산학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스타트업 육성 등을 통해 아이디어를 실제 구현할 계획이다. 수상자들의 현대차 입사도 지원한다.

현대차 관계자는 “브라운대와 중장기적 공동연구 과제 진행 등 교류 협력을 지속할 계획”이라며 “브라운대와 공동연구 체계를 구축하는 등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우수한 미래 모빌리티 관련 기술을 축적하겠다”고 말했다.

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