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내년부터 서울 320개 고교 전체서 ‘고3’ 무상급식

25개 자치구 모두 동참…2021년까지 1·2학년도 시행

내년 무상급식 예산 5,682억원…올해보다 16.5% 증가

박원순 서울시장이 21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시 고교 친환경 학교급식 업무협약에서 입장발표를 하고 있다./연합뉴스박원순 서울시장이 21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시 고교 친환경 학교급식 업무협약에서 입장발표를 하고 있다./연합뉴스



내년부터 서울의 모든 고등학교에서 ‘고3’ 무상급식이 시행된다.

당초 9개 자치구가 고교 3학년 무상급식을 시범 운영하다가 단계적으로 확대하려 했으나 25개 자치구 모두가 동참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내년에는 무상급식 대상이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교 3학년과 일부 사립초·국립초·국제중으로 대폭 확대될 방침이다.


서울시는 서울 내 320개 고교의 3학년 학생 8만4,700명이 내년부터 친환경 무상급식 대상이 된다고 21일 밝혔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25개 구청장,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신원철 서울시의회 의장은 이날 서울시청에서 고교 무상급식 전면 시행을 위한 합동협약을 맺었다.

지난달 말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은 2021년까지 모든 초·중·고교에서 무상급식을 전면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무상급식 확대를 위한 첫 단계인 고3 무상급식 시범 사업에는 중구·성동구·동대문구·중랑구·강북구·도봉구·동작구·관악구·강동구 등 9개 자치구가 참여한다.


고3 무상급식에는 많게는 20억원 가까운 비용이 들기 때문에 재정 여건상 참여하지 못한 자치구도 있었다. 그러나 해당 자치구 학부모들의 민원이 빗발치자 하나둘 참여 의사를 밝혔다. 무상급식 참여 의사를 묻는 서울시의 의견 수렴 과정 역시 원활하지 않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일부 구청장들이 강하게 반발하자 다시 ‘중지 모으기’에 나서 결국 25개구 전체가 모두 참여하기로 했다. 내년에 이어 2020년에는 고교 2학년, 2021년에는 고교 1학년이 무상급식 대상에 포함돼 2021년까지 서울 초·중·고등학교 전체에서 무상급식을 시행한다.

관련기사



사립초등학교 무상급식을 지원하기로 한 자치구도 기존 11개에서 16개로 늘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국립초 1곳, 사립초 35곳, 국제중 1곳 등 총 37개 학교에서 무상급식을 시행한다. 내년에 무상급식을 시행하지 않는 국립초(1곳)·사립초(4곳)·국제중(1곳)은 총 6곳이다.

무상급식 확대의 가장 큰 문제는 예산이다. 무상급식에 투입되는 내년 예산은 총 5,682억원이다. 작년보다 940억원(16.5%) 늘었다. 서울시교육청이 50%(2,841억원), 서울시가 30%(1,705억원), 자치구가 20%(1,136억원)를 부담한다. 자치구의 경우 노원구 부담액이 18억5,000만원으로 가장 많고 강남구(12억2,000만원)와 은평구(11억5,000만원)가 뒤를 잇는다. 기준 급식단가는 공립 초등학교 3,628원, 국립·사립초등학교 4,649원, 중·고등학교 5,406원이다.

박원순 시장은 “예산 편성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내 25개 전 자치구에서 보편적 교육복지를 위해 큰 결심으로 뜻을 모았다”며 “무상급식이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우리 아이들을 건강하고 행복한 미래 시민으로 키우는 밑거름이 되도록 차질 없이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고교 무상급식 관련 예산은 서울시의회 예산안 심의를 거쳐 본회의를 통과해야 편성된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