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4,900t급 ‘노적봉함’ 해군 인도…LST-Ⅱ사업 성공적 종료

노적봉함



차기상륙함(LST-Ⅱ) 4번함인 ‘노적봉함’이 21일 해군에 인도된다.

노적봉함은 2015년 11월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를 시작해 국방기술품질원의 정부 품질보증을 받았다. 앞으로 4개월간 해군의 승조원 숙달훈련 등의 과정을 거쳐 내년 전반기 중 임무에 투입될 예정이다.

노적봉함이 해군에 넘겨지며 2014년 11월 인도된 천왕봉함을 시작으로 천자봉함, 일출봉함, 노적봉함까지 방위사업청의 차기상륙함 사업도 막을 내렸다. 노적봉함은 기존 해군이 보유한 고준봉급 상륙함보다 기동속력과 탑재능력, 장거리 수송지원 능력 등의 성능이 향상됐다.


4,900t(만재배수량은 8,000t)급의 노적봉함은 최대속력 23노트(약 40㎞/h)로, 120여명의 승조원이 운용한다. 함내에 국산 전투체계와 지휘통제체계를 갖춘 상륙작전지휘소를 보유해 효과적인 작전지휘를 할 수 있다. 병력 300여 명, 상륙주정 3척, 전차 2대, 상륙돌격장갑차 8대를 동시에 탑재할 수 있고 함미 갑판에 상륙기동헬기 2기가 이·착륙할 수 있다. 개발 중인 국산 해궁 함대공 미사일을 장착해 개함 방공 능력도 갖췄다.

관련기사



방위사업청은 “해상과 공중으로 동시에 전력을 투사하는 ‘초수평선 상륙작전’ 수행 능력을 보유한 함정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방사청 상륙함사업팀장인 이제동 해군 대령은 “노적봉함이 전력화되면 강화된 탑재능력을 바탕으로 이미 전력화된 차기상륙함과 함께 해군의 주력 상륙함으로 활약이 기대된다”며 “평시에는 물자수송, 재난구조 활동 등의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유엔 평화유지활동(PKO)을 통한 국위선양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군은 높은 산의 봉우리를 상륙함의 함명으로 사용하고 있다. 목포 유달산의 ‘노적봉’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노적봉 바위에 볏짚을 덮은 후 군량미로 위장해 왜군의 침략을 저지하고 아군의 사기를 높인 역사적 의미를 가진 곳이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