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사립유치원 60% 참여 '처음학교로' 일반원아모집 시작

"중요한 정보는 설명회에서"…'발품' 강요 여전

사립유치원 10곳 중 6곳이 참여하는 2019학년도 온라인 유치원 원아모집 일반접수가 21일 시작된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사립유치원 10곳 중 6곳이 참여하는 2019학년도 온라인 유치원 원아모집 일반접수가 21일 시작된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



사립유치원 10곳 중 6곳이 참여하는 2019학년도 온라인 유치원 원아모집 일반접수가 21일 시작된다. 지난해보다 사립유치원 참여가 대폭 늘면서 ‘공 뽑기’에 온 가족이 동원되는 불편은 덜었지만, 학부모들의 발품을 강요하는 사립유치원의 행태는 여전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날 유치원 온라인 원아모집 시스템 ‘처음학교로’를 통한 일반모집 원서접수가 시작된다.


‘처음학교로’는 유치원 입학신청·추첨·등록을 모두 온라인에서 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현장추첨을 위해 온 가족이 동원되는 불편을 줄이고 학부모의 정보 접근권을 확대하고자 도입됐다.

정식 도입 첫해인 지난해에는 사립유치원 참여율이 2.7%(115곳)에 그쳐 실효성 논란이 일었다. 그러나 올해는 교육부와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이 제재와 인센티브를 내세우며 참여를 독려한 결과 참여율이 크게 늘었다. 전체 국공립유치원 4,782곳 중 비무장지대(DMZ)에 있는 1곳을 제외한 4,781곳(99.97%), 사립유치원 4,088곳 중 2,448곳(59.88%)이 참여하기로 했다. 특히 세종·제주지역 사립유치원 참여율은 100%를 기록했으며, 광주·충북·충남·전남지역 사립유치원의 참여율은 90% 안팎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의 경우 사립유치원 633곳 가운데 547곳(86.41%)이 참여하기로 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사립유치원들이 제대로 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관련기사



실제로 올해 만 3세가 된 아이의 유치원 입학을 준비 중인 직장인 김 모 씨는 이달 초 집 근처의 한 사립유치원 설명회에 참석해 온라인 모집요강에는 나와 있지않은 여러 정보를 얻었다. 이런 식으로 중요한 정보를 감춰두고 발품을 유도한다는 점이 불쾌했지만 다른 대안이 없어 해당 유치원에 지원했다.

김씨는 “한 유치원은 나 같은 맞벌이 부부 자녀가 우선모집 대상이라는 점을 설명회에서만 알려줬다”며 “우선모집 대상은 유치원이 정하기 나름이기 때문에 모집요강에 명시하지 않을 경우 설명회에 참여해 알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다른 유치원은 모집인원조차 확정되지 않았다며 일단 설명회에 와서 들으라고 했다”며 “이러면 처음학교로를 도입한 의미가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둘째 아이의 유치원 입학을 준비하고 있는 직장인 최 모(35) 씨 역시 “추첨에 탈락하면 대기 번호가 나오는데 올해 말이 지나면 대기 번호가 없어지니 내년 초에는 번호를 다시 받아야 한다더라”라며 “결국 ‘공 뽑기’가 반복되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일부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웃돈을 얹어주거나 현장접수를 하면 추첨에서 뽑힐 확률이 높아진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 학부모들은 정부가 눈에 보이는 참여율만 높일 것이 아니라 현장을 제대로 관리·감독할 필요도 있다고 주장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문제가 되는 사례는 현장 지도를 통해 시정하겠다”며 “내년 초에 대기 번호를 다시 받아야 한다는 말은 2019학년도 원아모집을 위한 ‘처음학교로’ 시스템이 올해 말에 닫히기 때문에 나온 것 같은데 이에 대해서는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