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아동·청소년 60% "스마트폰·컴퓨터 사용시간 줄여야"

절반 가량 "학교 놀권리 보장 노력 안 한다"

국내 아동·청소년 절반 이상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여가를 줄이고 신체 활동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사진=이미지투데이국내 아동·청소년 절반 이상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여가를 줄이고 신체 활동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사진=이미지투데이



국내 아동·청소년 절반 이상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여가를 줄이고 신체 활동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정익중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전국 초등∼고등학교와 대안학교 등 각급 학생 1,946명을 대상으로 올해 8∼10월 초 실시한 ‘놀 권리 모니터링’ 결과를 22∼24일 열리는 ‘2018 아동 인권 보고대회’에 맞춰 22일 공개했다. 설문 중 ‘나의 놀이 방법 중 바꿔야 하는 점’을 묻는 복수 응답 질문에 가장 많은 1,163명(59.8%)이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을 줄여야 한다’고 답했다. 이어 ‘신체 활동을 늘려야 한다’(912명·46.9%), ‘바깥 놀이를 더 많이 해야 한다’(526명·27.0%), ‘놀이 시간 관리가 필요하다’(390명·20.0%) 등의 순이었다.


앞서 여성가족부가 전국 학령전환기 청소년 129만1,546명을 대상으로 한 ‘2018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에서 15.2%(19만6,337명)가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과의존 위험군’으로 분류된 바 있다. 정 교수는 “응답자 중 거의 대부분이 놀이 방법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특히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고 신체 활동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아동이 절반을 넘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은 충분히 놀거나 여가 활동을 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를 묻는 말(복수 응답)에 ‘너무 많은 학원 교습’(559명·28.7%)과 ‘학교 학습으로 인한 시간 부족’(524명·26.9%)을 주된 이유로 꼽았다. 학교가 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를 묻자 절반에 가까운 920명(47.3%)이 ‘대체로 그렇지 않다’고 응답했다.

한편 ‘놀 권리’가 자신들의 권리라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는 아동·청소년 역시 10명 중 3명 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를 즐기고 여가 활동을 하는 것이 아동의 권리라는 것을 아는지 묻자 ‘안다’는 응답이 65.9%(1,283명), ‘모른다’는 응답이 33.7%(655명)로 집계됐다.

부모님 등 보호자가 놀이·여가의 권리를 인정해주는지 묻는 말에는 ‘별로 인정해주지 않는다’(236명·12.1%), ‘전혀 인정해주지 않는다’(32명·1.6%) 등 아동·청소년 13.7%가 해당 권리를 인정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