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T, 기술 개방·노년층 지원 등 행복커뮤니티 프로젝트 추진

SK텔레콤은 유통망을 공유인프라로 개방해 사회적 난제 해결에 본격 나서겠다고 22일 밝혔다./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은 유통망을 공유인프라로 개방해 사회적 난제 해결에 본격 나서겠다고 22일 밝혔다./사진제공=SK텔레콤



SK텔레콤이 정보통신(ICT) 기술과 유통망을 개방하고 노인 등 통신 이용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교육에 나선다.

SK텔레콤은 ICT 인프라 공유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행복커뮤니티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를 위해 지난 19일부터 전국 54개 직영 대리점에서 해당 지역사회를 위한 ICT 교육을 시작했다. 또 전국 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와 손잡고 ICT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을 지원해 지역 일자리 창출에 나서기로 했다. SK텔레콤이 노인 교육과 일자리 창출에 나선 이유는 고령화 사회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ICT 복지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한국소비자원 조사에 따르면 75세 이상의 97.8%가 스마트폰 모바일 앱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국내 독거노인 인구가 지난 2015년 120여만명에서 2025년 197만명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됐다.


SK텔레콤은 서울과 수도권 30개, 지방 24개 매장에서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활용 교육을 시작했다. 교육을 진행 중인 각 매장에는 스마트폰 강사 인증교육을 받은 직원이 2명씩 배치돼 노년층이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금융·결제·예약 등 활용 방법과 스마트폰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고 있다. 내년에는 스마트폰 제조사와 협력해 사진·영상 교육, SK ICT 계열사 전문가 초청 교육, 어린이를 위한 스마트로봇 코딩교육 등 어린이·일반인까지 대상을 확대해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독거 노인과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돌봄 사업도 강화한다. 지방자치단체가 사회적 기업에 관련 일자리 예산을 지원하고, SK텔레콤은 AI와 사물인터넷(IoT) 등 자사 ICT 기술을 지원하는 형태다. SK텔레콤의 ICT 기술을 지원받은 사회적 기업은 음성인식 인공지능 ‘누구’를 활용해 독거노인의 외로움을 달래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누구의 감성대화, 음악, 날씨, 뉴스, 운세 기능에 노인 맞춤형 서비스를 더해 독거노인의 말벗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IoT 센서를 통해 독거노인이 사는 집의 환경을 모니터링하거나 치매 노인을 위한 위치 알리미 서비스, IoT 혈당측정 등 건강관리 솔루션도 공급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이를 위해 최근 전국 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와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민·관 협력 추진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SK텔레콤은 유통망의 ICT 인프라를 활용, 지역 주민의 공공정보 접근성을 개선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본인인증 서비스 등의 ICT 기술을 활용해 유통망에서 고객이 직접 행정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하거나, AI스피커를 통해 민원 안내 및 상담 등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다. SK텔레콤 유통망은 전국 핵심상권 및 인구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돼 있어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행복커뮤니티 프로젝트는 SK텔레콤이 보유한 ICT 기술을 사회에 공유해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시도”라며 “행복커뮤니티 조성에 더 많은 기관가 참여해 사회적 난제 해결에 힘을 모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언급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