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기관 17일째 '팔자'...코스닥 외면하나

2016년말 이후 최장 순매도

중형주 실적부진 실망매물에

바이오주 차익실현 더해진듯

콘텐츠 등 엔터주는 사들여

"기관이 반등 막아" 볼멘소리




코스닥시장에서 기관투자가들이 기록적인 순매도 행진을 펼치고 있어 주목된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기관투자가들은 코스닥시장에서 지난달 31일부터 이날까지 17거래일 연속 순매도했다. 누적 순매도 금액만 1조2,133억원에 달한다. 개인투자자들이 같은 기간 1조4,603억원을 사들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코스닥 반등을 기관이 가로막고 있다는 볼멘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특히 17거래일 연속 매도는 지난 2016년 말(2016년 12월28일~2017년 1월31일 22거래일 연속) 이후 최장 기록이다. 과거 사례를 감안해도 이례적인 수준인 셈이다. 거래소 전산시스템으로 확인 가능한 1999년 이후 기관투자가가 코스닥시장에서 17거래일 이상 연속 순매도에 나선 사례는 총 10차례다. 순매도 금액으로 따지면 이번이 최대다. 직전 최고치인 2006년 1월17일~2월20일(24거래일) 순매도 금액은 총 8,779억원이었다.


기관투자가 중에서도 증권사 등 금융투자(6,566억원)가 매도 선봉에 섰다. 연기금(2,283억원), 사모펀드(1,532억원)도 만만치 않게 팔았다. 그 배경으로는 코스닥 중형주의 실망스러운 3·4분기 실적에 따른 실망 매물,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이슈와 맞물린 바이오주 차익실현 등을 꼽는다. 실제로 이 기간 기관투자가들이 가장 많이 판 종목은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1,172억원)였다. 신라젠(215600)(490억원), 인트론바이오(048530)(423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문제는 순매도 행진을 멈출 만한 호재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 추정치가 존재하는 코스닥 상장사 146곳의 4·4분기 순이익 추정치는 1조3,163억원으로 지난달 추정치보다 4.48% 감소하는 등 하향 조정이 계속되고 있다. 게다가 ‘슈퍼 개미’들이 대주주 양도소득세를 회피하기 위해 연말 매도에 나설 가능성도 농후하다. 양도세 요건이 강화되면서 올해부터 종목별로 15억원 이상을 보유한 대주주들은 양도차익에 대해 22~27.5%의 양도세를 물어야 한다. 이 때문에 오는 12월에 양도세 회피 매물이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이다. 김상표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난달 급락장 이후 코스닥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 비율은 80% 초반까지 떨어졌다”며 “양도세 회피를 위한 매물이 당분간 계속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콘텐츠 등 엔터테인먼트주 중심의 순매수 흐름에 기대를 걸어볼 만하다는 분석도 있다. 17거래일간 기관투자가들은 코스닥에서 스튜디오드래곤(253450)(179억원), 게임빌(063080)(137억원), 에스엠(041510)(87억원) 등을 사들였다. 같은 기간 코스닥시장에서 2,666억원을 팔아치운 외국인들도 에스엠(261억원), 아프리카TV(067160)(237억원), JYP Ent.(035900)(83억원)를 순매수했다.

한편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외국인 매도세가 이어지고 있다. 외국인은 8거래일 연속 1조4,071억원을 순매도했다. 최근 소비 증가, 유가 하락, 업황 개선 등의 호재가 있는 휠라코리아(081660)(627억원), 대한항공(003490)(623억원), 대우조선해양(042660)(478억원)을 사들인 대신 삼성전자(005930)(3,381억원), 아모레퍼시픽(090430)(3,720억원), 삼성전기(009150)(1,258억원) 등은 팔아치웠다.


유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