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단기외채비율 39개월 만에 최고

3분기 31.8%로 올들어 상승세

글로벌 시장 불안땐 유출 가능성

한미 금리역전으로 자본유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우리의 대외건선성을 보여주는 대표 지표인 단기외채비율이 3분기 연속 상승하며 3년3개월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18년 9월 말 국제투자 대조표(잠정)’를 보면 3분기 말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31.8%로 전분기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15년 2분기 32.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현재 단기외채 비율의 수준 자체는 여전히 낮은 편이지만 지난해 4분기말 29.8% 이후 매분기 오름세를 타고 있다. 전체 대외채무 대비 단기외채인 단기외채 비중도 28.5%로 전분기보다 0.1%포인트 올랐다. 단기외채 비중 역시 지난해 말 이후 3분기 연속 상승세다.

관련기사



단기외채는 외국인들이 보유한 만기 1년 미만의 채권 내지 대출금 등으로 글로벌 시장 불안이 확산되면 만기연장 거부 내지 재투자 중단 등의 방식으로 자본이 유출될 수 있다.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은 전분기보다 72억달러 증가한 4,622억달러로 집계됐다. 사상 최대 규모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미중 무역갈등,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등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며 “대외채무 동향을 면밀히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