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울산시,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시동'

동해 가스전 플랫폼 재활용 논의

송철호 시장 "세계적 선도사례 될것"

울산 동남쪽 58㎞ 지점 울릉분지 내에 위치한 동해가스전 해상플랫폼 전경. /사진제공=울산시울산 동남쪽 58㎞ 지점 울릉분지 내에 위치한 동해가스전 해상플랫폼 전경. /사진제공=울산시



울산시와 한국석유공사가 동해 가스전 플랫폼을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주요 시설로 활용하기 위한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갔다.

울산시는 26일 송철호 시장이 동해 가스전 플랫폼을 방문해 풍황계측 라이다 운영 상황을 확인하고 동해 가스전 플랫폼 재활용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울산시는 지난 6월부터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동해 가스전 플랫폼과 가스배관 라인을 활용한 ‘200㎿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사업’ 타당성 조사를 벌이고 있다. 오는 2020년 5월까지 국비 27억원 등 총 40억여원이 투입되는 조사 내용은 해저, 해중, 해상의 자연환경 조사와 군 전파 영향, 국제법상의 분쟁, 계통연계 방안 확인 등이다. 울산시는 조사 내용을 토대로 각종 인허가 취득 등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은 울산시를 주축으로 울산테크노파크(주관기관), 동서발전, 한국선급, 울산대, 서울대, 한국해양대, 창원대 등 산학연 각계 전문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관련기사



울산시는 2021년에 생산이 종료되는 동해 가스전 플랫폼을 해상변전소와 풍력단지 시설 통합 운영관리를 위한 현장 기지로 활용하고 육지까지 이어진 가스배관은 전력을 연결하는 케이블 라인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현행 법령상 2021년 6월 한국석유공사의 동해가스 채취권이 종료되면 한국석유공사 외의 다른 해저조광권자가 가스전을 인수하거나 국가가 인수하지 않을 경우 원상 회복을 위해 1,000억원 이상의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송 시장은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계획 목표 달성을 위한 유일한 돌파구는 부유식 해상풍력이며 동해 가스전 플랫폼을 활용한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 조성은 세계적으로 선도 사례가 될 것”이라며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 조선해양플랜트 산업의 활로 개척과 다양한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