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올 광군제 키워드는 '1020·글로벌 브랜드'

무협, 트렌드 변화 분석

1020세대가 구매자의 80%

글로벌 거래국은 75개 달해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행사인 광군제의 ‘큰 손’이 1020 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부는 중국 광군제 10년의 트렌드 변화 보고서를 통해 11월 11일 당일 ‘주링허우(1990년 이후 출생자)’에게서 발생한 매출이 전체 소비의 46%를 차지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를 매출액으로 환산하면 982억 위안(약 16조 원) 가량이다. ‘바링허우(1980년대 출생자)’를 포함한 80∼90년대 이후 출생자는 전체 구매자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올해 광군제의 또다른 트렌드는 ‘메이드 인 글로벌(Made in Global)’로 요약됐다. 글로벌 브랜드의 참여가 활성화되면서 알리바바의 티몰 글로벌이 거래한 국가·지역 수가 75개로 늘었다. 취급 브랜드 수는 총 1만 9,000개에 달했다.

지난 11월 1일부터 11일까지 중국이 국경 간 전자상거래를 통해 수입한 상품액은 300억 위안(약 4조 9,000억 원) 이상이었다. 5대 해외직구 수입대상국은 일본, 미국, 한국, 호주, 독일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인기 많은 5대 수입상품은 화장품, 영유아용품, 건강식품, 의류, 디지털·가전제품이었다.


지문·안면 인식 등 생체인증 결제도 특징적이었다. 이번 광군제 행사 당일 전체 거래의 60.3%가 모바일 지문과 안면인식 기술을 활용한 생체인식 결제로 이뤄졌다. 올해 6월 기준 중국인 7억 9,000만 명이 모바일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90% 이상이 광군제 기간에 모바일로 결제한 것이다.

관련기사



온라인 판매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유통 채널의 참여도 눈에 띄었다. 470개 마트와 62개 백화점, 100만 개의 요식업·생화·과일 매장 등이 온·오프라인 결합 방식으로 광군제에 참여했다.

한편 올해 10주년을 맞은 광군제는 사상 처음으로 주문량 10억 건을 돌파했다. 광군제 첫해인 2009년 당시 5,000만 위안(약 81억)에 달하던 매출은 4,270배 증가한 2,135억 위안(약 35조 원)을 기록했다.


◇2018년 광군제 8대 트렌드

키워드 내용
80년대에서 90년대 이후로 전체 소비자 중 90년 이후 출생자가 절반 가까이 차지
북방보다 남방에서 TOP10 소비도시를 보면 2위를 차지한 베이징 외 9개 도시가
모두 남방에 위치
대중소비에서 품질소비로 소비 품목이 의류,신발,가방 등에서 의료·건강용품, 인테
리어용품 등으로 변화
Made in China에서 Made in Global로 티몰글로벌, 세계 75개 국가 및 지역·1만 9,000개 브랜드 제품 취급
중국의 축제에서 아세안의 축제로 동남아 최대 사이트 라자다(Lazada) 통해 싱가포르, 태국, 말레
이시아 등에서 2,000만명 참여
생체인식 결제 전체 거래 중 60.3%가 홍채·지문 등 생체인식 방식 이용
스마트 물류로 더 많이·더 빠르게 알리바바, 스마트물류 창고로 사상 최고치 주문량 대응
온라인에서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진화 오프라인에서도 온라인과 연결해대대적인 판촉 행사 진행
/자료:한국무역협회

허세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