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뚜렷해지는 금융위기 징후..."1년내 리스크 온다" 3배↑(전문가 응답률 9→29%)

■한은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가능성 낮다'는 56→27%로

무역분쟁·주요국 금리인상 등

단기 리스크 요인으로 꼽아







국내 경기 둔화에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 심화, 미국 등 주요국 금리 인상 등이 맞물리면서 1년 안에 금융시스템에 균열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를 보면 단기(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높다’고 본 전문가 비율은 29%로 지난 5월 조사 당시의 9%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다. 반면 ‘낮다’는 응답률은 56%에서 27%로 하락했다. 반년 만에 금융리스크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눈에 띄게 커진 셈이다. 중기(1~3년)에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높다’는 응답률이 38%에서 40%로 소폭 확대했다. 이번 조사는 10월22일부터 11월16일까지 국내 금융기관 임직원, 금융권 협회와 금융·경제연구소 직원, 해외 금융기관 한국 투자 담당자 등 총 8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금융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단기 리스크로는 ‘미중 무역분쟁 심화’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등이 꼽혔고 중기 리스크로는 ‘국내 경제 성장세 둔화’ ‘중국의 금융·경제 불안’ ‘가계부채 누증’ 등이 선정됐다. 이 가운데 실제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된 리스크는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미중 무역분쟁 심화’ ‘국내 경제 성장세 둔화’였다. 리스크 발생에 따른 영향력은 ‘미중 무역분쟁 심화’ ‘국내 경제 성장세 둔화’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순으로 클 것으로 평가했다. ‘부동산시장 불안정’과 ‘가계부채 누증’은 중간 정도의 영향력을 미치는 리스크로 분류됐다.


지난 5월 조사와 비교해 ‘미중 무역분쟁 심화(78→81%)’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38→67%)’ ‘중국 금융·경제불안(18→51%)’을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꼽은 전문가들이 많아진 반면 ‘가계부채 누증(74→45%)’ ‘부동산시장 불안정(50→41%)’은 응답 비중이 떨어졌다.

관련기사



국내 경제 성장세 둔화를 걱정하는 비중이 두 배 가까이 뛰어오른 것은 하반기 들어 경기 둔화 신호가 뚜렷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 10월 한은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9%에서 2.7%로 0.2%포인트 낮춰잡았다. 또 전년 동기 대비 취업자 수 증가 폭은 6월 10만6,000명에서 7월 5,000명, 8월 3,000명으로 주저앉은 뒤 9월(4만5,000명)과 10월(6만4,000명)도 부진을 이어가며 당분간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반면 9월13일 정부가 주택시장 안정대책을 내놓은 후 집값이 안정세를 보이면서 가계부채나 부동산 염려가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한은은 추정했다.

국내 경제에 다양한 리스크가 부담을 주고 있지만 우리나라 금융시스템 전반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는 오히려 소폭 개선됐다. 앞으로 3년간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질문에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5월 36%에서 11월 37%로 비슷했지만 ‘낮다’는 비율은 11%에서 7%로 상당폭 떨어졌다./김능현·임진혁기자 nhkimchn@sedaily.com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