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친박계 '박근혜 불구속 결의안' 일보 후퇴

계파갈등 증폭 지적에 자제 움직임

자유한국당 친박(친박근혜)계 내부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의 불구속 재판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최근 친박계와 비박(비박근혜)계에서 일부 의원들을 중심으로 박 전 대통령과 이명박 전 대통령의 불구속 재판 결의안을 추진하는 움직임이 감지됐다. 하지만 이 같은 움직임이 계파 간 갈등을 증폭시킨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당초 결의안을 추진했던 인사들도 한 발 물러서는 모양새다.


불구속 재판 결의안에 적극적이었던 친박계 윤상현 한국당 의원은 6일 오전 국회에서 두 전직 대통령 재판의 법적 문제점을 지적하는 취지의 ‘자유민주주의 수호와 대한민국 바로 살리기 제4차 토론회’를 열고 ‘탈계파’를 강조했다. 계파 프레임에서 벗어나기 위해 추진한 결의안이 오히려 계파 갈등의 촉매가 됐다는 지적에 윤 의원은 이날 토론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석방을 촉구하자는 선이지 (국회에) 결의안을 내자는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토론회 인사말에서도 “좌파혁명의 무서운 쓰나미가 몰려오고 있는데 아직도 우리 당은 과거의 프레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네 탓 공방만 하고 있다”며 “탄핵에 찬성했든, 반대했든 모두가 역사의 죄인이다. 스스로 고해성사를 하고 현 정부에 맞서서 대응하는 것이 국민 앞에 최소한의 용서를 받는 길”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같은 친박계인 홍문종 한국당 의원은 이날 오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보수진영이 하나가 되려면 탄핵을 이끈 데 대한 복당파의 고해성사와 사과가 먼저”라는 입장을 밝혔다. 홍 의원은 “당내 대부분의 의원이 복당파가 아무런 정치적 사과 없이 들어와 당을 좌지우지하는 데 대해 잘못됐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며 “과거니까 덮고 가자고 하는데 2,000년 지난 것도 아니고 불과 2년 전 있었던 일”이라고 말했다. 결의안에 대해서도 ‘비박계가 정치적 입지를 넓히기 위한 정치적 제스처’라고 평가했다. 홍 의원은 “결의안을 낸다고 하더라도 여권에서 동의하지 않으면 웃음거리밖에 안 되고 박 전 대통령을 두 번 죽이는 결과를 초래한다”며 “이런 문제에 대해서는 신중해야 하고 정지작업이 많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