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노벨상 日교수 "암, 2030년엔 목숨 빼앗는 병 아닐 것"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혼조 다스쿠(76) 교토대 특별교수가 7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수상기념 강연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혼조 다스쿠(76) 교토대 특별교수가 7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수상기념 강연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혼조 다스쿠(76·사진) 교토대 특별교수가 “오는 2030년에는 암이 사람의 목숨을 빼앗는 병이 아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9일 NHK 등 일본 언론들에 따르면 혼조 교수는 노벨상 시상식을 앞두고 7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수상기념 강연에서 “현재 암 치료 중에는 외과 수술과 항암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2020년에는 면역요법이 치료의 중심이 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면역요법 연구의 권위자인 혼조 교수는 암 환자에게 면역치료를 할 때 ‘PD1’이라는 단백질이 작용해 치료를 방해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그의 연구 결과는 암 치료약 ‘옵디보’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등 암 치료 가능성을 크게 넓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관련기사



박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