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홍남기 "우리경제, 잠재성장경로 밑돌아…개선 어려운 분야 많아"

“최저임금 인상 등 우려로 경제 심리 떨어져…정책 변화 필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1일 “우리 경제가 잠재성장 경로로 보면 약간 밑에서 움직이고 있다고 본다”고 진단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내년에도 몇 가지 지표를 짚어보면 쉽게 나아질 것 같지 않은 분야가 많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고용·분배 등 국민이 체감하는 지표가 어렵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뜻에서 우리 경제 상황을 엄중하게 보고 있다”고 발언했다.


홍 부총리는 이어 경제 활력에 대한 대책은 단기 대책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지적하고 구조개혁과 경제체질 개선은 중장기적인 대책으로 담길 것이라고 밝혔다. 소상공인의 어려움과 관련해서는 과당경쟁, 소비패턴의 변화, 인구구조의 변화 등 구조 문제에 더해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판단이다.

관련기사



홍 부총리는 “최저임금 인상, 주 52시간 근무제 등 일부 정책이 시장에서 우려로 나타나면서 경제 심리가 더 떨어졌다”며 “이런 것을 거꾸로 짚어서 정책적 변화도 필요하고 구조적 문제는 별도 처방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소득주도성장 논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갑론을박이 많았는데 이제는 여러 복합적 요인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정책적으로 처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제팀은 내년 총론보다는 각론에, 큰 틀보다는 구체적인 정책에 초점을 둘 것”이라며 경제관계장관회의 등에서 집행 속도와 성과를 더욱 촘촘하게 짚을 것을 약속했다.

홍 부총리는 국민 체감도가 높은 성장률과 고용, 분배를 특별히 중요한 경제지표로 꼽았다. 그는 “성장률 회복, 고용 지표 개선, 5분위 배율 등을 포함한 분배 개선 추세 등을 엄정하게 모니터링하면서 가야 할 것 같다”며 “정부 역량을 최대한 동원해서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다원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이다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