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WSJ "中, 미국산 자동차 관세 '40%→15%'로 인하 합의"

“미중 무역대표 통화서 中측이 통보…적용시기는 불투명”

지난 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무역협상/AP연합뉴스지난 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무역협상/AP연합뉴스



중국이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기존 40%에서 15%로 낮추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1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시간으로 전날 밤 이뤄진 류허 중국 부총리와 미국의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무역대표부(USTR) 대표 간 전화 통화에서 류 부총리가 이같이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이날 오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트위터에 “중국과 매우 생산적인 대화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일부 중대 발표들을 기다려라!”고 올려, ‘중대 발표’ 내용에 주목하고 있던 상태였다.


중국의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인하는 본격적인 무역협상을 촉진할 수 있는 기회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일 아르헨티나에서 ‘90일간 휴전’을 합의한 이후 벌어진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 체포 사태로 인해 미중협상이 난항을 겪을 거란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WSJ은 다만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이 같은 관세인하 합의가 언제부터 적용될지는 알 수 없다고 전했다. 중국은 지난 7월 미국 이외 국가에서 수입하는 자동차에 대한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내렸지만, 며칠 뒤 미국산 자동차에 몰리는 관세율은 40%로 올렸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과의 ‘90일 휴전’ 합의 직후인 지난 2일 자신의 트위터에 “중국이 현재 40%인 미국에서 중국에 들어가는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줄이고 없애는(reduce and remove) 데 동의했다”고 밝힌 것으로 미뤄, 합의는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 상무부 통계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해 중국에 95억 달러(10조6,000억원) 어치의 승용차와 경트럭을 수출했다. 중국은 지난해 28만208대의 자동차를 수입했고 이 중 10%가 미국산이다.

미국은 중국에서 수입하는 자동차에 대해 27.5%의 세율을 적용하고 있다. /이다원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이다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