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대통령 "제조업 혁신해야 대한민국 경제가 산다"

경남 창원에서 세번째 지역 경제 행보

중소 제조 혁신 열쇠로 스마트공장 제시

경남 숙원사업 남부내륙고속철도 예타 면제 예정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전 경남 창원에 위치한 스마트 제조혁신 중소기업인 삼천산업을 방문해 공정을 둘러 본 뒤 질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전 경남 창원에 위치한 스마트 제조혁신 중소기업인 삼천산업을 방문해 공정을 둘러 본 뒤 질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지금 우리 경제가 어려운 이유는 전통주력 제조업에서 활력을 잃고 있기 때문”이라며 “제조업에 혁신이 일어나야 대한민국 경제가 산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경남 창원 경남도청에서 열린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에 참석해 “우리도 제조혁신으로 경쟁력을 높이고 제조업 강국으로 재도약할 때”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의 지역 경제 현장 방문은 전북 군산, 경북 포항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문 대통령은 앞서 고용노동부 업무보고에서 최저임금 인상의 악영향을 면밀히 파악해볼 것을 지시한 데 이어, 최저임금에 가장 민감한 제조업 현장을 찾는 등 경제 정책 전환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문 대통령이 이날 방문한 경남 창원은 전통 제조업의 위기로 문 대통령 지지층 이탈이 가속화되는 곳이다.

문 대통령은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제조업의 비중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30%에 가까운데, 제조업 강국으로 불리는 독일, 중국, 일본보다 높다”며 “그야말로 우리는 제조업 강국이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를 제조업의 강국으로 이끌어 온 중심지가 바로 이곳 경남”이라며 “창원의 기계, 거제의 조선, 울산의 자동차와 석유화학공장이 바쁘게 돌아갈 때 우리 경제도 힘차게 뛰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지금 제조업 강국들은 제조업을 고도화하기 위한 혁신 경쟁이 한창이다”며 “혁신성장과 일자리 만들기를 위한 제조혁신은 더 이상 미룰 수도, 피할 수도 없는 과제”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이 이날 제조업 혁신의 열쇠로 거론한 것은 ‘스마트 공장’이다. 스마트공장은 제품의 설계부터 제조·판매까지 전 과정을 정보기술(IT)로 통합해 비용과 시간을 줄이는 공장을 말한다.

문 대통령은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5,003개 공장의 생산성이 30% 증가했다. 불량률은 45% 감소했고 원가를 15%를 절감했다. 2016년 한 해, 스마트공장 한 곳에서 평균 2.2명의 일자리가 늘었다”고 소개했다. 이어 “대기업은 이미 자체적으로 스마트공장이 많이 도입돼 있기 때문에 이제 중소기업으로 확산시킬 때”라며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을 3만 개로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한 “제조업 생산의 70%는 산업단지에서 이루어진다”며 “노후화된 산업단지를 스마트 산단으로 바꿔 제조혁신 거점으로 만드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년에 선도 스마트 산단 2곳을 지정하고, 2022년까지 10곳으로 늘릴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측근인 김경수 경남도지사와 경남도에 대한 따듯한 애정도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경남은 김경수 지사 취임 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4개년 계획’을 수립해 제조혁신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며 “경남의 새로운 도약은 우리 제조업의 중심지 경남을 살리고, 한국 경제의 도약으로 이어질 것이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경남도의 숙원산업인 ‘남부내륙 고속철도’에 대해서 “경남 서부와 내륙지역은 산업기반과 교통인프라가 다른 지역에 비해 취약하다”며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곧 결정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