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가장 가까운 車 배차 서울시 '택시 실험' 돌입

연말 오후 11시~오전 1시까지

강남·홍대·종로3가 시범운영

승차거부 차단 효과에 관심

카카오 택시가 승객 종착지를 알려줘 ‘합법적인 승차거부’를 조장한다는 지적에 따라 서울시가 호출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택시를 강제 배차하는 ‘택시 실험’을 진행한다.


서울시는 서울법인택시운송조합·티맵택시와 협업해 올 연말 동안 ‘승차거부 없는 택시’를 운영한다고 18일 발표했다. 오는 21·22·24·28·29·31일 6일간 오후11시부터 이튿날 오전1시까지 강남·홍대입구·종로3가 대한보청기 앞에서 이용할 수 있다. 티맵택시 앱을 통해 택시를 호출하면 그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택시가 강제 배차된다. 법인택시조합과 티맵택시는 ‘승차거부 없는 택시’ 시범 운영을 위해 300대(강남 125대·홍대 125대·종로 50대)를 확보했다.

관련기사



서울시의 ‘승차거부 없는 택시’ 운영은 카카오 택시의 부작용을 해소하겠다는 실험적 성격이 강하다. 카카오 택시는 사용자가 입력한 종착지를 택시 운전사가 볼 수 있어 단거리 승객을 자연스럽게 거부해 사실상의 승차거부를 유도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서울시 관계자는 “단거리 콜 거부, 승객 골라 태우기를 원천봉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시는 이번 연말 시범 운영을 통해 시민 반응을 살피고 공동으로 개선점을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승차거부가 집중되는 심야 시간 택시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지난 7일 시범 실시했던 개인택시 부제 해제가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개인택시 부제는 가·나·다·라 등으로 군을 나눠 교차적으로 휴무를 지정하는 시스템이다. 서울시는 부제 해제로 오후11시부터 이튿날 오전3시까지 총 2,339대의 부제 차량이 운행했으며 같은 날 승차거부 민원 신고는 전년 같은 요일 대비 38%(22건→9건) 감소했다고 전했다. 서울시는 17일부터 내년 1월1일 새벽까지 매일 개인택시 부제 해제를 실시할 방침이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