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특허청, IP 검색 분야 민간과 손잡고 효율화 꾀한다




특허청이 출원기술의 특허여부 판단을 위해 자체 보유한 검색시스템에 의존하던 지난 20년간의 심사 관행에서 탈피해 민간의 지식재산(IP) 검색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용에 나선다.

특허청은 21일 오후 2시 민간 업체와 함께 각자 보유한 IP 검색시스템의 특화된 기능을 시연하는 ‘민·관 IP 검색 시스템 설명회’를 정부대전청사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에는 국내 주요 업체인 마크프로, 워트인텔리전스, 윕스, 위즈도메인(가나다 순)과 아울러 해외 글로벌 업체인 클레리베이트가 참여를 신청했다. 그간 IP 정보 서비스 시장 활성화를 위해 특허청의 문을 두드려왔던 업체들이다.


이들 5개 민간 업체는 상표·특허 분야 심사관을 포함한 IP 관계자를 대상으로 자사의 우수한 검색 서비스 기능을 소개하고, 서비스 제공 및 기술 교류 등 특허청과의 협력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한편, 특허청은 AI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키워드 입력 방식이 아닌 문서 단위의 특허 검색, △ 금속 성분비 및 화학식 구조 검색, △ 상표 이미지 검색, △디자인 캐릭터 검색, △상표 명칭의 주지·저명성 판단 등 검색 기능 고도화 전략을 수립한 바 있으며, ’19년부터 관련 기술 보유 업체를 선발하여 시스템 개발에 착수한다.

마정윤 특허청 정보시스템과장은 “민간의 검색 기술을 이용한다면 특허청의 심사 품질 향상과 더불어 민간의 IP 정보 서비스 경쟁력 제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IP 정보 검색 서비스는 산학연의 R&D의 성공여부를 좌우하는 수단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민·관의 기술 교류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