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단독] 취업절벽...'회수불능' 학자금 대출 8년만에 최고

올 상각채권 40% 늘어 66억




학자금 대출 가운데 회수할 수 없는 부실채권 규모가 8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청년취업난이 가속되면서 학자금 대출의 연체 부담이 위험수위에 달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4일 서울경제신문이 입수한 한국장학재단의 ‘2018년 학자금대출 부실채권 상각 실시안’에 따르면 장학재단이 올해 법원의 개인회생, 파산, 채무자 사망 등의 이유로 상각을 결정한 채권 규모는 총 66억1,000만원(12월3일 기준)에 달했다. 상각 대상 인원은 1,130명이다. 부실채권 상각은 상환능력이 없거나 회수 불가능한 채권을 대손충당금으로 손실 처리해 회계장부에서 제외하는 것을 뜻한다. 대출금 회수가 쉽지 않은 부실채권 중 ‘사실상 못 받는 돈’을 가려내 분류한 것이다.


올해 상각 규모는 지난 2010년의 86억여원 이후 8년 만에 최고치다. 청년실업률이 사상 최악을 기록해 일자리를 찾지 못한 대학생들이 학자금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탓이다. 경기불황이 취업난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다시 학자금 대출 상환 부실로 연결되는 악순환이 거듭되고 있는 셈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자금 대출 상환을 위한 노력을 많이 하고 있지만 학생 복지의 의미가 큰 대출이라는 성격을 고려하지 않을 수도 없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관련기사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