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교통공사 노사 임단협 극적 타결…지하철 파업 면해

임금 2.6% 인상·임금피크제 개선 건의 등 합의

27일 서울교통공사 노사가 마라톤 협상 끝에 임단협 타결을 이루면서 이날 예정된 지하철 파업은 없게 됐다. /서울교통공사27일 서울교통공사 노사가 마라톤 협상 끝에 임단협 타결을 이루면서 이날 예정된 지하철 파업은 없게 됐다. /서울교통공사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의 노사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이 27일 오전 타결됐다. 이에 따라 노조의 무기한 총파업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노조는 협상 결렬 시 이날 총파업을 시작한다고 밝혀왔었다.


서울교통공사와 노조 측은 전날 오후 3시부터 마라톤 교섭을 벌인 끝에 이날 오전 6시 50분 협상에 잠정적으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지난 10월 16일 임단협을 시작한 지 두 달여 만의 타결이다. 서울교통공사 노사는 그간 임금 7.1% 인상, 임금피크제 개선, 노동시간 주당 41.45시간에서 37.5시간으로 단축, 안전 인력 충원 등을 의제로 협상해왔다. 10차례의 교섭에도 노사 양측의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못하자 노조는 지난달 28일 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이달 10∼13일 투표를 거쳐 파업한다는 방침이었다.

관련기사



하지만 26∼27일 마지막 교섭에서 노사는 임금을 2.6% 올리고 임금피크제 개선 방안을 정부에 공동 건의하는 등에 동의해 지하철 파업은 벌어지지 않게 됐다. 지하철은 필수공익사업장이기에 파업 시에도 최소 인력은 유지되어야 하지만 열차 운행이 평소보다 줄어드는 것은 불가피하다.

서울교통공사는 지난해에도 무기계약직 전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문제로 노사 간 협상을 벌이다 12월 31일 밤 극적으로 타결된 바 있다. 당시 정규직 전환자 1,285명 중 공사 재직자의 친인척이 108명이나 된다는 조사결과를 시작으로 채용비리의혹이 불거져 공사는 현재 감사원 감사를 받고 있다. 이에 관한 국정조사도 예정돼 있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