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새해 경제정책 발표에도 기업 경기전망 여전히 부정적

한경연 “내년 1월 BSI 92.7…내수침체·수출둔화로 기대감 낮아져"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선적부두에서 차들이 수출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선적부두에서 차들이 수출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기업들의 내년 1월 경기전망이 정부의 새해 경제정책 발표에도 여전히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내년 1월 전망치는 92.7로 나타나 지난달 전망치(88.7)보다 소폭 올랐다고 27일 밝혔다. BSI 수치가 100을 넘으면 경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고, 100 아래면 부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다.


내년 1월 경기전망이 부정적인 데에는 지속적인 대내외 불확실성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미·중 무역분쟁이 풀리는 분위기에도 수출 전망은 92.1로 부정적이었고 내수(93.5)와 투자(95.9), 자금(94.0), 재고(104.9), 고용(99.7), 채산성(98.1) 등의 부문도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재고의 경우엔 전망치가 100 이상일 때 부정적 전망(재고 과잉)을 뜻한다. 기업들은 계속되는 내수경기 침체와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수출 둔화로 신년 경제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졌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한경연은 각 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내년도 경제전망을 보더라도 성장률이 올해 대비 0.1∼0.3%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개선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12월 실적치는 전망치(88.7)보다 높은 90.2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기준선 아래였다. 100 아래인 경우는 2015년 5월부터 44개월 연속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용(100.8)을 제외한 내수(93.5), 수출(91.0), 투자(96.7), 자금(93.5), 재고(105.2), 채산성(91.8) 등 모든 부문이 부진했다.

한경연은 “올해 기업들의 실적 부진은 심각한 상황”이라며 “전월 대비 개선이라고 응답한 기업에서조차 상대적인 개선이지 절대적 수치는 매우 낮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라고 밝혔다. 송원근 한경연 부원장은 “정부가 투자와 소비 증진을 위한 경제정책을 내놨지만, 실제 경제회복으로 이어질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라며 “단기적 재정지출 확대의 효과는 한계가 있는 만큼 장기적 경제구조 개선을 위한 정책 개발이 시급하다”고 분석했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