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기업

장애인 탑승 지연에 "열차출발 방해" 면박...코레일 '탈선한 인권의식'

휠체어 리프트 지원 요청했지만

"출발 15분전 오지 않았다" 거부

코레일 KTX 열차가 객차 내 안내 모니터를 통해 ‘고객의 열차 출발 방해’로 지연 출발했다고 알리고 있다./사진제공=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코레일 KTX 열차가 객차 내 안내 모니터를 통해 ‘고객의 열차 출발 방해’로 지연 출발했다고 알리고 있다./사진제공=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고객의 열차 출발 방해로 출발이 11분 지연되었습니다.’

지난 13일 한바탕 실랑이 끝에 간신히 오전 10시5분 출발 창원중앙역행 KTX에 올라탄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대표는 3시간여 승차시간 내내 객차 모니터로부터 질책을 당했다. ‘고객’이라 쓰였지만 ‘죄인’이라 읽히는 낯뜨거운 광고에 다른 승객들의 매서운 눈초리가 뒤통수에 그대로 꽂히는 기분이었다.


박 대표에 따르면 당일 오후 2시 경남 창원에서 열리는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아침 7시부터 장애인콜택시를 수소문했지만 잡히지 않아 두 시간을 기다린 끝에 9시54분 서울역에 도착했다. 2층 종합안내소 도착 시간은 57분, 열차 출발 8분 전이었다. 그는 휠체어 전동리프트 탑승 지원을 요청했지만 역무원은 15분 전에 오지 않았다며 다음 열차(12시50분)를 타라며 지원을 거부했다. 마음이 급해진 박 대표는 재차 도움을 요청한 뒤 서둘러 플랫폼으로 이동해 좌석이 있는 2호차 앞에서 섰다. 이때 시간은 10시 1분. 바로 옆에 리프트도 있었지만 끝내 아무 직원도 내려오지 않았다. 직원들이 철도경찰과 함께 나타난 때는 그가 어떻게든 타겠다며 열차를 붙잡은 뒤였다. 우여곡절 끝에 박 대표를 태운 열차는 10시16분에야 출발했다. 실제 리프트를 이용한 시간은 채 1분 남짓이었다.

관련기사



더 일찍 오지 않은 박 대표를 탓할 수도 있다. 그러나 코레일이 그의 탑승을 서둘러 도왔다면 열차는 충분히 제시간에 출발할 수도 있었다. 설사 승객 잘못이 커도 공개적으로 열차 내 망신주기식 광고 문구를 넣은 건 지나치다는 비판도 쏟아진다.

28일 박 대표는 서울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은 출발 15분 전 도착 시 탑승 가능’ 규정은 차별행위”라고 주장했다. 코레일이 전담인력을 배치하거나 동선을 개선하는 등 다른 조치가 가능한데도 자의적으로 15분을 설정해 열차 이용을 제한한다는 것이다. 또 차내 질타 광고에 대해 코레일 대표의 사과를 요구했다. 기자회견을 바라본 한 시민은 “열차 지연 운행은 다반사인데 제대로 설명도 안 하면서 특정 승객을 망신주기 한 셈”이라며 “공공기관의 인권의식이 한심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