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신용길 생명보험협회장 "판매수수료 선지급 관행 등 소비자 신뢰도 제고에 앞장서야"

신용길 생명보험협회장이 판매수수료 선지급 관행 개선 등 소비자 신뢰도 제고에 보험사들이 앞장서야 한다고 밝혔다.

신 회장은 31일 신년사에서 “판매수수료가 영업의 목적이 되면 불완전판매와 승환계약이 증가해 영업현장의 기본 질서가 무너진다”며 “보험산업이 그동안 신뢰 회복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쳐왔지만 국민의 눈높이에는 아직도 미흡한 만큼 판매 단계에서부터 그릇된 관행을 고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회장은 정부에서 추진 중인 특수직 종사자 보호 방안에 대한 우려도 드러냈다. 신 회장은 “보험설계사 등 특수직 종사자 보호 방안은 보험업계에 상당한 파급 효과를 미치는 사안”이라며 “정부 의도와 달리 직원들이 오히려 실직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중한 접근과 사회적 합의가 절실하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신 회장은 내년 핵심 과제 중 하나로 새 국제회계기준(IFRS17)과 신(新)지급여력제도(킥스·K-ICS)의 안정적 도입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두 제도의 도입시기가 2021년에서 2022년으로 1년 미뤄졌지만 도입 자체는 변함이 없고 생보업계에 큰 도전이 될 것”이라며 “준비기간이 늘어난 만큼 새로운 결산시스템 구축에 노력을 쏟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혁신성장에도 본격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역설했다. 신 회장은 “생명보험 시장은 가구당 가입률이 86%에 달할 정도로 이미 포화상태”라며 “인슈어테크(InsureTech)를 통한 혁신적 상품·서비스 공급은 보험산업의 성장을 이끌 동력”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보험사의 헬스케어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비의료행위에 대한 구분을 명확히 하고 빅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는 법적·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며 “보험과 신기술의 창의적 융합을 지원하기 위해 보험사도 핀테크 업체를 자회사로 소유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 역시 마련돼야 한다”고 전했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