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김수현·김광두, 주요 대기업 임원 만났다…靑, 재계 소통 본격화

정부 경제정책 기조·규제혁신 등 각종 정책 평가

국내 4대 대기업그룹의 젊은 총수들이 지난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열린 2019 기해년 신년회에서 만나 얘기를 나누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왼쪽부터),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 총괄부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각 그룹에서 ‘세대교체’된 젊은 총수 4인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사실상 처음이어서 더욱 눈길을 끌었다./연합뉴스국내 4대 대기업그룹의 젊은 총수들이 지난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열린 2019 기해년 신년회에서 만나 얘기를 나누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왼쪽부터),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 총괄부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각 그룹에서 ‘세대교체’된 젊은 총수 4인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사실상 처음이어서 더욱 눈길을 끌었다./연합뉴스



김수현 청와대 정책실장과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이 지난 연말 국내 주요 대기업 임원들과 비공개 회동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청와대 경제라인을 총괄하는 정책실장과 대통령 직속 경제자문기구의 수장이 정부 차원의 공식 간담회가 아닌 비공식 채널로 재계 인사들을 만났다는 점에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집권 3년 차를 맞아 민생·경제 분야에서의 성과를 최우선 과제로 강조하는 가운데 청와대가 기업계와의 소통 강화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3일 청와대와 여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김 실장과 김 부의장은 지난 연말 서울 시내 한 호텔에서 삼성그룹을 포함한 주요 대기업 임원들과 조찬 회동을 했다. 이는 기업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고충을 허심탄회하게 들어보자는 취지에서 마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 자리에서는 소득주도성장·혁신성장·공정경제를 중심 축으로 하는 정부의 경제정책 기조에 대한 기업계 의견, 규제혁신을 포함해 문재인정부 출범 후 이뤄진 각종 정책에 대한 평가 등이 오갔다.


한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공식적인 자리에서 만나 얘기하면 어떤 오해나 왜곡이 생길지 몰라 서로 조심스러워질 수밖에 없지 않나”라면서 “그런 걱정 없이 솔 직하게 대화할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비공개 자리를 마련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청와대·정부와 기업이 공감대를 늘리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라며 “서로 도움이 되는 자리”라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일각에선 이번 모임을 시작으로 앞으로도 청와대와 재계가 필요할 때마다 대화하는 자리가 계속 만들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로 지난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 정책실장이 선임되며 닻을 올린 ‘2기 경제팀’은 기업과의 만남을 늘려가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홍 부총리는 지난해 12월 17일 청와대에서 열린 확대경제장관회의에서 “시장·기업과 가장 많이 소통하는 경제팀, 현장을 가장 많이 찾아가는 경제팀이 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분석이 나오는 이유는 여권 내에서도 문재인정부가 집권 중반기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서는 기업을 중심으로 한 혁신성장 동력 확보 및 일자리 창출이 가장 시급하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특히 문 대통령이 연초부터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행보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만큼 청와대와 정부로서는 발 빠르게 움직여야 하는 상황이다.

문 대통령은 전날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개최한 신년회에서 경제 활력 제고에 무게중심을 실은 신년 메시지를 내놓았다. 문 대통령은 특히 “경제발전도 일자리도 결국은 기업의 투자에서 나오며, 기업도 끊임없는 기술혁신·투자 없이는 성장이 있을 수 없다”면서 “기업이 투자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데 힘쓰겠다. 기업이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게 정부가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신년회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를 일제히 초청한 것 역시 재계와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노진표 인턴기자 jproh93@sedaily.com

노진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