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의 전기를 투입할 때 형광등은 70,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은 최대 150까지 빛을 발산한다. LED 조명은 내구성도 좋아 형광등보다 수명이 3배 이상 길다. 최근 가격도 하락하면서 LED는 점차 경제성까지 갖추고 있다. 일본 등 에너지 다소비 국가들이 형광등의 생산을 아예 금지하고 LED를 독려하는 이유다. 우리 정부도 에너지 소비 구조를 혁신하기 위해 2028년까지 형광등을 시장에서 퇴출하는 등 에너지 효율 제품을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한다.
조기선 한국전기연구원 전력정책연구센터장은 8일 열린 ‘에너지 소비구조 혁신’ 토론회에서 ‘한국형 국가 탑 러너 이니셔티브(Top-Runner Initiative)’ 추진 방안을 제안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마련한 이번 토론회에서 제안된 내용은 정부가 올 상반기 발표할 에너지 사용 합리화 방안 등에 담길 가능성이 높다.
탑 러너 이니셔티브는 지난 2016년 독일에서 국가에너지효율계획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실시된 캠페인을 벤치마킹한 프로젝트다. 독일에서는 당시 정부와 제조사, 판매자, 소비자가 연대해 “고효율 제품·에너지 절약형 제품의 시장 확대하자”는 내용의 ‘이니셔티브’를 추진했다. 조 센터장은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워킹그룹이 권고한 바에 따르면 2040년 최종에너지 소비 목표를 2017년 수준으로 묶어둬야 하는 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수요관리가 필수적”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들의 공동의 노력이 전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선 국내 전력사용의 약 20%를 차지하는 조명 분야에서 2028년까지 형광등을 퇴출하고 LED로 전환해야 한다는 게 조 센터장의 주장이다. 조 센터장은 “형광등 최저효율을 단계적으로 올려야 한다”며 “형광등의 최저효율 기준을 높이면 향후 10년 내 자연스럽게 퇴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미 일본은 2020년부터 전력소모량이 큰 백열등과 형광등의 자국 내 생산과 수입을 금지했다. 대신 LED로 교체할 것을 권장했고 기업에 주택·빌딩 건축 시 에너지절약 기준을 바탕으로 에너지 소비효율이 높은 기기 사용을 권장했다. 미국 역시 2020년까지 전체 조명 수요의 50%를 LED로 대체하기 위해 매년 5,000만달러를 투자하고 있다. 한국도 지난 2011년 ‘LED 조명 2060 계획’을 수립해 2020년까지 LED 조명 보급률 60% 달성(공공부문 100%)을 목표로 확산 시책을 추진해 왔지만 사실상 실패했었다. 정부는 향후 10년간 형광등 퇴출을 비롯한 도시 에너지 효율화 방안을 마련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 센터장은 또 산업부문 에너지효율 제고를 위해 산업용 기기의 최저효율기준(MEPS)을 강화하고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체 에너지 소비의 61.8%가 산업부문에서 소비되는데 현재 최저효율기준은 전동기와 변압기 단 2개에만 적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조 센터장은 “산업용 중 에너지 다소비 설비인 노후 보일러 교체가 시급하다”며 “2025년까지 국가 보조금을 지급해 4,000대 규모의 노후 보일러 설비를 교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제조업 전체 에너지 소비량 중 18.3%가 보일러이지만 15년 이상 된 보일러 비중이 30%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기 때문이다. 그는 또 “산업용 기기의 최저효율기준 대상에 올해부터 냉동기와 압축기를 포함하고 2022년까지 팬, 대형펌프 등으로 단계적으로 늘려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