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제조업, 그래도 희망은 있다] "부산, 신발산업 '뿌리' 살아있어 저력 충분"

<4>문창섭 삼덕통상 회장

원부자재 100% 국내서 조달

자사 완제품 제조도 전망 밝아

베트남에 생산시설 새로 구축

개성공단 재개땐 시너지 기대

문창섭 삼덕통상 회장



부산 녹산동 국제물류산업단지 내 신발산업집적화단지에 있는 삼덕통상 본사. 지난 11일 찾은 이곳은 공장과 사무실, 물류 기능을 모두 갖춘 복합 기지다. 생산 부문에서는 170여 명의 생산직 근로자들이 신발 완성품을 만들고 1팀부터 7팀까지 있는 연구개발(R&D) 조직은 고가의 테스트장비를 갖추고 디자인과 기능, 소재의 물성까지 연구하느라 바쁘다. 삼덕통상은 베트남 공장에서 만든 반제품을 부산으로 들여와 완성품 신발을 만들고 국내 10개 아웃도어 브랜드에 등산화와 트레킹화 등을 납품한다. 이 회사의 연간 생산량은 240만 켤레 정도. 과거 개성공단이 잘 돌아갈 땐 360만 켤레까지 생산했다. 삼덕통상 회사 곳곳을 둘러보니 시설은 넓고 깨끗하며 생산이든 R&D든 조직에 활기가 넘친다.

그러나 문창섭(63·사진) 회장은 “(회사가) 겉으로는 잘 돼 보이죠? 사실은 아직 심한 몸살을 앓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2016년 2월 갑작스런 개성공단 폐쇄에 따른 후유증이 아직 남아있다는 뜻이다. 문 회장은 “고비는 넘겼지만 아직은 좀 더 물샐 틈 없는 경영이 필요한 단계”라고 설명했다.




삼덕통상 부산공장 제화라인에서 생산직 근로자들이 등산화와 아웃도어화 완제품을 만들고 있다. /사진제공=삼덕통상삼덕통상 부산공장 제화라인에서 생산직 근로자들이 등산화와 아웃도어화 완제품을 만들고 있다. /사진제공=삼덕통상


삼덕통상에게 개성공단 폐쇄는 악몽이었다. 개성공단 시범단지 시절에 들어가 반제품을 개성에서 생산해 부산에서 완제품을 만드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폐쇄 직전에는 북한 노동자 2,900명을 고용해 반제뿐만 아니라 일부 제품은 완제까지 했다. 그 상황에서 나온 정부의 개성공단 폐쇄 발표는 기업으로서는 사형선고나 다름없었다.

“전쟁이나 천재지변에 준하는 상황이었죠. 금형부터 다 거기 있는데 뭘로 신발을 만듭니까. 바이어들은 제품 달라고 아우성이고…앞이 하나도 안 보였습니다.”


회사를 접어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문 회장의 선택은 ‘회사의 경영 이념인 신용·신뢰를 지키자’는 것이었다. 무슨 일이 있더라도 일감을 준 아웃도어 브랜드들이 장사는 하게 해줘야 한다고 결심했다. 10개 브랜드가 각각 300~400개 씩의 대리점을 갖고 있다면 그들 각자 판매계획을 세웠을 텐데 그걸 다 어긋나게 할 수는 없다는 게 문 회장의 판단이었다.

관련기사



문 회장은 직원들을 중국에 급파해 개성을 대신해 반제품을 만들어 줄 수 있는 공장을 20여 개 섭외했다. 웃돈을 줘야 했지만 어쩔 수 없었다. 금형을 새로 제작하고 원부자재를 새로 조달하는 데도 돈일 들었다. 어마어마한 손실이 났지만 결국 바이어들과 약속한 물량을 만들어냈다. 그렇게 한 해를 보내고는 베트남에 개성을 대체할 공장을 짓기 시작해 현재 가동 중이다.

만일 개성공단이 다시 열린다면 당시 어려움은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 있다. 베트남 공장을 수출 전용 기지로 돌리고 내수는 개성과 부산에 맡길 경우 결과적으로 사업을 확장한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신발은 노동집약적 산업이어서 ‘사양산업’이라는 인식이 보통이다. 그 많던 부산의 신발 완제품 공장 중 남은 것은 삼덕을 포함해 2~3개 뿐이다. 하지만 문 회장은 부산 지역의 신발 원부자재 공급 능력만은 아직 최고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그래서 현재도 원부자재를 100% 한국에서 조달한다. ‘더불어 살아야 한다’는 신념도 있지만 아직은 부산의 신발산업의 뿌리가 살아있어 완제품 제조도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게 문 회장의 판단이다.

“개성이 다시 열리고 신발 분야 남북경협이 확대되면 원부자재는 다 부산에서 갖다 써야 합니다. 북한이 신발 원부자재 공급 인프라를 갖추려면 20년을 걸릴텐데 최소 그 기간은 부산의 신발 관련 산업이 다시 흥하는 겁니다. 개성은 오늘 주문한 제품을 내일 팔 수 있는 유일한 생산기지입니다. 말이 통하고 품질이 보장되는 곳입니다. 그래서 협력사들과 함께 어려움을 견디며 개성공단 재개를 기다리고 있어요.”

문 회장은 일에 집중하기 위해 수년 전 골프도 끊었다. 최근엔 출퇴근 시간을 줄이기 위해 해운대에서 공장 옆으로 이사하고 자전거를 타고 다닌다. 문 회장은 “신발 원부자재 산업이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한국에 완제품 공장이 있어야 하는데 그 일을 삼덕통상이 하겠다”면서 “특히 R&D 역량을 더욱 확대해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맹준호기자 next@sedaily.com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