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기술플랫폼' 네이버? 짝 찾기에 달렸다

CES서 기술기업으로 데뷔 성공

데니스 홍 '예술' 극찬한 로봇팔

AR 실내자율주행로봇 등 주목

LG전자와 공동연구 합의 이어

글로벌 기술협력·제휴 이뤄내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체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2019의 네이버 부스 전경 /사진제공=네이버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체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2019의 네이버 부스 전경 /사진제공=네이버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2019에 첫 출사표를 던진 네이버가 전문가들과 관람객들에게 호평을 받으며 ‘기술 플랫폼’으로서의 첫 걸음을 시작했다. 5,000여명이 넘는 인원이 네이버 전시장에 몰렸으며 세계적인 로봇 공학 학자 데니스 홍 UCLA 교수로부터는 “예술의 경지”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네이버는 앞으로도 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세계 무대에 등장해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을 강화시킬 계획이다.

네이버는 지난 8~11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19에 세계 최초 5G 브레인리스 로봇 기술과 증강현실(AR) 실내 자율주행 로봇 등 13종 신기술·신제품을 전시했다. 네이버는 글로벌 IT 기업인 구글과 세계 최대 자율주행차 지도 제작업체 ‘히어’ 주변에 부스를 마련해 전세계 관람객들에게 주목을 받았다. 네이버 관계자는 “일부러 구글 맞은편으로 부스 위치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2019의 네이버 전시관을 찾은 관람객들이 세계 최초 5G 브레인리스 로봇 제어 기술이 적용된 로봇팔 ‘앰비덱스’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네이버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2019의 네이버 전시관을 찾은 관람객들이 세계 최초 5G 브레인리스 로봇 제어 기술이 적용된 로봇팔 ‘앰비덱스’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네이버


CES2019 전시 기간 동안 네이버 부스를 방문한 관람객들은 5,000명이 훌쩍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5G 브레인리스 로봇 제어 기술이 적용된 로봇팔 ‘앰비덱스(AMBIDEX)’와 AR 실내 자율주행 로봇 ‘어라운드 G(AROUND G)’의 시연 시간엔 관람객들이 몰려 안전을 위해 출입이 통제되기도 했다.


부스를 열자마자 점검을 위해 전시장을 찾은 한성숙 대표는 “앰비덱스와 어라운드G의 움직임이 날이 갈수록 자연스러워지고 있다”며 “세계 최초로 시도하는 기술임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해 높은 기술적 완성도를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5G 브레인리스 로봇 제어 기술은 로봇 자체의 고성능 프로세서가 없어도 5G의 초저지연 기술을 이용해 클라우드로 로봇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 네이버와 퀄컴은 CES2019가 열리기 열흘 전인 지난해 12월 28일 이 기술을 로봇팔 앰비덱스에 적용하는 개발에 성공해 극적으로 전시하게 됐다. 로봇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 데니스 홍 UCLA 교수는 “네이버가 만든 로봇팔 앰비덱스는 예술의 경지”라며 “CES에 나온 로봇 중 최고의 승자”라고 극찬했다.

증강현실(AR) 자율주행 로봇인 어라운드G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2019 네이버 부스에서 길찾기 시범을 보이고 있다. /라스베이거스=권경원기자증강현실(AR) 자율주행 로봇인 어라운드G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2019 네이버 부스에서 길찾기 시범을 보이고 있다. /라스베이거스=권경원기자


어라운드G는 대형 쇼핑몰과 공항 등 실내 공간 안에서 원하는 지점까지 길을 안내해주는 자율주행 로봇이다. 움직일 때 주변 장애물을 인지에 자연스럽게 피해다닐 수 있으며 AR 디스플레이로 상점에 대한 부가 정보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첫 걸음을 딛은 네이버의 ‘기술 플랫폼’ 전환은 앞으로 글로벌 제휴를 얼마나 확대하느냐에 따라 성공 여부가 판명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인텔과 엔비디아, 퀄컴, LG전자, SM엔터테인먼트 등 부스에 방문한 다양한 기업들은 네이버의 기술에 큰 관심을 드러냈다. LG전자와는 CES2019 기간 중 로봇 기술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데 합의하기도 했다. 양사는 LG전자의 안내로봇 ‘에어스타’에 네이버랩스의 위치·이동 플랫폼 xDM(eXtended Definition & Dimension Map)적용하기로 했다.

다만 LG전자 이외에 다른 글로벌 기업과의 제휴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헤드는 “현장에서 유수의 글로벌 기업 관계자들을 만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협력 논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CES2019를 시작으로 글로벌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무대에 꾸준히 신기술·신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라스베이거스=권경원기자 nahere@sedaily.com

https://tv.naver.com/v/5012091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