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여성 경력단절 해소에 231억 투입

'일·생활 균형' 플랫폼 연내 구축

맞춤 프로그램으로 재취업 지원도

경기도가 올해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등 경력단절 문제 해소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도는 이를 위해 국비와 도비, 시·군비 등 모두 231억원을 투입한다.

1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우선 여성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상담과 교육을 비롯해 일·생활 균형에 대한 인식 제고에 나선다.


도는 노무사·상담사 등 8명의 분야별 전문가 지원단이 일하는 여성의 고충 상담과 커리어 코칭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일·생활 균형 등을 주제로 희망 기업과 지역의 워킹맘을 찾아가는 맞춤형 교육도 한다.

또 자녀를 양육하는 맞벌이 가정과 같이 가사서비스가 필요한 이들과 공급업체를 연결해주는 ‘일·생활 균형 지원 플랫폼’을 구축해 연내에 서비스를 시작하고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이하 새일센터)에서 양성한 정리수납 전문가를 맞벌이 가정에 연계하는 ‘주거공간 개선 지원사업’도 시범 운영한다.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지원 정책도 한층 업그레이드한다.

관련기사



경력단절 여성 지원 기관인 새일센터 사업의 기능과 역할을 확대한다. 이는 도 여성 고용률이 30대에 하락했다가 40대에 상향하는 전형적인 M-커브 형태를 띠는 데다 새일센터를 통한 재취업자 중 76.6%가 40대 이상에 편중된 데 따른 것이다.

도는 새일센터에서 취업 상담부터 취업 후 사후 관리까지 특화된 맞춤형 프로그램 3종을 추진한다.

고학력·고숙련 경력단절 여성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코딩 과정, 이모티콘 크리에이터, 웹디자이너 실무 프로젝트 등 전문 분야 및 신 유망 직종으로의 진입을 돕는 심화 과정을 운영한다.

경력단절 여성의 고용을 장려하기 위해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새일여성인턴 제도를 통해 경력단절 여성을 고용하는 기업에 1인당 최대 300만원(기업 240만원·인턴 60만원)을 지원한다.

전기송 경기도 여성정책과장은 “불가피하게 직업을 포기했던 경력단절 여성의 사회 복귀 지원은 물론 사전 예방까지 전방위적 해결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