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보여주기식 활동 때문? '안락사 논란' 케어 홍보 비용 급증

대대적 홍보로 모금 뒤 무리한 구조…보호소 부족이 안락사로 이어져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동물권단체 케어 사무실의 문이 닫혀 있다. 무분별한 동물 안락사 논란과 관련해 ‘동물권단체 케어’의 박소연 대표는 이르면 오는 16일 기자회견을 열어 잇단 의혹과 자신의 거취와 관련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연합뉴스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동물권단체 케어 사무실의 문이 닫혀 있다. 무분별한 동물 안락사 논란과 관련해 ‘동물권단체 케어’의 박소연 대표는 이르면 오는 16일 기자회견을 열어 잇단 의혹과 자신의 거취와 관련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연합뉴스



무분별한 안락사 논란을 빚은 동물권단체 ‘케어’의 캠페인 및 행사비, 동물구호사업비가 최근 가파르게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케어가 ‘보여주기식’ 구조 활동에 급급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연합뉴스가 분석한 케어의 사업 수지 결산서에 따르면 케어의 캠페인 및 행사비는 2015년 1,000여만원, 2016년 1,900여만원에서 2017년 7,600여만원으로 약 3.9배 늘어났다. 또한 지난해 1∼11월 지출한 캠페인 및 행사비는 무려 1억여원에 달했다. 이는 2년 전과 비교하면 5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한편 케어가 동물구조에 사용한 동물구호사업비는 2015년 2억2,600여만원에 달했다. 동물구호사업비는 2016년 1억6,600여만원으로 줄었다가 2017년 다시 2억5,500여만원으로 늘었다.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케어는 6억3,000여만원을 동물구호사업비로 집행했다. 구조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보호소 운영비도 급증했다. 2015년 2,100여만원이던 보호소 운영비는 2016년 2,000여만원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7년 4,900여만원으로 늘었으며 지난해 1∼11월 6,600여만원으로 증가했다.


케어 관계자는 “지난해를 기준으로 볼 때 동물 치료비와 보호시설 임대료 등을 포함한 동물 관리비가 전체 지출의 약 40%, 급여 등 인건비가 약 40%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의 퍼스트 도그 ‘토리’ 입양을 주선했던 사실 등이 알려지며 사업 규모가 커지고 구조 활동도 활발해졌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같은 케어의 기부금 지출 내용을 두고 ‘보여주기식’ 구조 활동에 치중한 나머지 내실 있는 보호소 운영에는 소홀했던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케어는 그동안 개 농장에서 식용견을 구출하는 과정을 인터넷으로 실시간 중계하거나 구조 작업에 유명 연예인을 동원하는 등 홍보성 구조 활동을 해왔다. 이처럼 대대적 홍보로 후원금을 모은 다음, 수용력의 범위를 넘는 무리한 구조를 감행했던 것이 무분별한 안락사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케어가 운영하는 보호소의 수용력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동물들을 많이 구조하면 할수록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번 안락사 문제를 폭로한 케어의 내부고발자는 박소연 대표가 지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동물 약 250마리의 안락사를 지시했으며 이처럼 많은 동물이 희생된 배경에는 비좁은 보호소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새롭게 구조된 동물들의 보호 공간 마련을 위해 이미 구조된 동물들을 무분별하게 안락사했다는 것이다.

한 동물단체 관계자는 “만약 뒤에 구조된 동물들을 위해 먼저 구조된 동물들이 안락사를 당해야만 하는 사실을 알았더라면 과연 수많은 후원자가 케어에 후원금을 냈겠느냐”며 “부득이하게 안락사를 시행했다면 그 사실을 후원자에게 공개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박 대표가 단체를 확장하고자 하는 개인적인 욕망 탓에 사람들에게 보여주기식 구조 활동을 펼친 것은 아닌가 의심스럽다”고 덧붙였다. /노진표 인턴기자 jproh93@sedaily.com

노진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