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소신의 송영길 "신한울 3·4호기 논의 부족"

"탈원전 정책에는 동의하지만

중장기 에너지 믹스 필요" 강조

‘신한울 3·4호기 원자력발전소 건설 재개 검토’ 발언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던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자신의 의견을 다시금 피력했다. 송 의원은 15일 “탈원전 정책에 동의한다”면서도 “중장기 에너지 믹스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공론화위원회는 신고리 5·6호기 공사 중단 여부에 한정돼 있다”며 “신한울 3·4호기의 경우 집중 논의된 적이 없고, 미진하고 부족한 점이 있다”고 꼬집었다.


송 의원은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장문의 글을 올렸다. 우선 그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다음 세대를 위한 사명”이라며 탈원전 정책을 반대하는 입장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다만 “미세먼지와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노후된 화력발전소를 조기 퇴출시키고 오래된 원자력발전을 정지시켜 신한울 3·4호기를 스와프해 건설하면 원자력발전 확대가 아니면서 신규 원전이므로 안정성은 강화된다”고 설명하며 당시 생각에는 변함이 없음을 강조했다. 이어 “국무총리 훈령을 살펴보면 신고리 5·6호기 문제에 한정·집중된 위원회이지 신한울 3·4호기 문제가 공식의제로 되는 조항이 없다”며 “매몰 비용 문제도 제대로 검토된 적이 없는 것으로 안다. 별도의 절차가 필요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자신의 발언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송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위해 모든 힘을 다할 생각을 가지고 실제로 그렇게 실천해왔다고 생각한다”며 “산업 현장에서 성장동력이 무너지고 있다는 안타까운 목소리들을 수렴해 공론화해보자는 충정으로 국회의원으로서 제가 해야 할 소명이라고 생각하고 의견을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당 중진인 박영선 의원은 같은 날 이용호·손금주 의원 입·복당 불허 결정과 관련해 “순혈주의가 필요할 때도 있지만 축적되면 때때로 발전을 저해할 때도 있다”며 지도부의 결정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그는 “지금부터 민주당은 순혈주의를 고수해야 할 것인지, 개방과 포용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순혈주의는 역사적으로 개방과 포용에 늘 무릎을 꿇었다”고 지적했다.


하정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