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 서울 양재 R&CD 혁신허브에서 열린 ‘제1차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데이터·AI경제 활성화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안은 지난해 정부가 데이터 경제로의 전환을 선언하고 11월 개인정보 관련 법 개정안을 발의한 뒤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정부는 우선 현재 14조원 규모인 국내 데이터 시장을 2023년까지 30조원 규모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센터 100곳을 구축하고 양질의 데이터가 결합·유통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플랫폼 10곳도 구축할 예정이다. 또 중소기업들이 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데이터 구매·가공 비용을 지원하는 바우처 사업도 진행한다. 개인정보 활용을 지원하는 ‘마이데이터’ 사업도 확대한다. 본인 동의 하에 개인데이터를 활용하도록 하는 마이데이터 사업을 에너지·유통 분야까지 점진적으로 넓힐 예정이다.
세계적인 수준의 AI 혁신 생태계도 조성할 예정이다. 뇌과학 등 AI 관련 기초연구와 지능형 반도체 등 소프트웨어 기술개발을 집중 지원하고 기업들의 해외 협력 프로젝트도 독려할 방침이다. 또 대학을 중심으로 AI융합연구센터를 지정·운영하고 AI전문기업 기술개발도 지원할 방침이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유니콘 기업 10곳을 육성하겠다는 목표다. 이와 더불어 해외 기업과 국내 벤처기업간 협력 프로젝트 ‘글로벌 AI 100’도 선정해 지원할 예정이다.
데이터와 AI간 융합도 촉진한다. 내년부터 사업비 1조원 규모의 AI융합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규제샌드박스를 조기 적용해 데이터·컴퓨팅 등 신기술 상용화를 앞당길 방침이다. 또 국가정보화기본법 개정, AI 윤리 가이드라인 마련 등 법과 제도도 신기술에 맞춰 변경할 예정이다. 데이터·AI 관련 전문 인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프랑스에꼴42 같은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를 만들어 전문인력 1만 명도 양성할 계획이다.
민원기 과기정통부 2차관은 “우리나라가 데이터와 AI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해 나갈 것”이라며 “규제 샌드박스의 시행 등으로 데이터와 AI 기반 신제품에 대한 시장검증과 출시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