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보건복지부의 ‘2018년 산후조리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산모가 출산 후 6주 동안 머물렀던 장소(중복응답)는 산후조리원이 75.1%로 가장 높았고 자가(70.2%), 친가(19.8%), 시가(2.4%) 순이었다. 선호하는 산후조리 장소에서도 산후조리원(75.9%), 자가(17.7%), 친가(6.0%)으로 조사됐다.
산후조리원의 평균 이용기간은 13.2일이었고 비용은 220만7,000원이었다. 산후조리원을 선택한 이유로는 ‘육아에 시달리지 않고 편하게 산후조리를 할 수 있어서’(36.5%), ‘육아 전문가에게 육아 방법 도움을 받기 위해서’(18.7%) 순이었다. 산후조리원을 이용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다른 자녀를 돌봐야 해서’(40.5%)였다.
산후조리원에서 모자동실(임산부와 신생아가 같은 공간에서 지내는 공간) 시간은 하루 평균 4.2시간이었다. 모자동실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52.4%로 나타나 산모의 절반 이상이 출산 직후에 아이와의 정서적 친밀감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산후조리원 외의 장소에서 산후조리를 한 기간은 자가(22.6일), 친가(22.3일), 시가(20.3일)였고 평균 지출 비용은 95만8,000원이었다. 산후조리에 가장 많은 도움을 준 상대는 친가 부모가 47.4%로 가장 많았고 주간 산후조리도움미가 28.9%로 뒤를 이었다. 산후조리 만족도는 친가(4.3점)가 산후조리원(4.0점)보다 높았고 본인집(3.8점)과 시가(3.7점)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산모가 출산 후 실제 산후조리 기간은 평균 4.6주(32.2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상적인 산후조리 기간은 8.3주(58.1일)로 조사돼 3.7주(25.9일)의 차이를 보였다. 산후조리 기간에 산모의 50.3%가 산후우울증을 경험했고 출산 후 9~20개월 사이에 산후우울증 위험군에 속한 산모가 전체의 33.9%로 나타났다. 하지만 22.0%는 우울증 치료를 위한 도움을 제대로 받지 못했고 25세 미만 산모는 34.7%에 달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보건복지부가 산모 2,91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처음 실시했다. 앞으로 산모와 신생아의 바람직한 산후조리 문화 정착과 건강 증진을 위해 3년마다 시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