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홍역, 미접종자 및 2-30대多.. 나의 접종 여부는? 예방접종도우미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예방접종도우미사이트예방접종도우미사이트



예방 접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예방접종도우미사이트에 접속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12월 대구에서 홍역 첫 환자가 신고된 이후, 1월 21일 오전 10시 총 30명의 홍역 확진자가 신고 됐다고 밝혔다.


홍역 예방접종(MMR) 미접종자 및 20-30대 의료기관 종사자에서 발생했다.

21일 기준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경산시, 경기도 안산시에 홍역이 유행중이다. 동남아, 유럽 등 홍역 유행지역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 1967년 이후 출생자 기준으로 홍역 병력이 없고, 홍역 예방 접종을 하지 않은 경구 MMR 예방접종을 최소 1회 이상 맞을 것이 권고된다.

홍역 증상은 감기와 비슷하게 콧물, 기침, 결막염 등으로 시작해 고열과 더불어 발진이 온몸으로 번진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 초 대규모 유행 후 ‘홍역 퇴치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예방접종 강화정책을 시행해, 예방접종률이 1차 97.7%, 2차 98.2%로 상당히 높아 대규모 유행 가능성은 낮다.



하지만 접종 시기가 안 된 영아나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은 감염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개인위생을 철저하게 지키고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줄이는 것이 좋다.

홍역은 생후 12~15개월, 만 4~6세 2회에 걸쳐 예방백신(MMR)을 접종해야 한다. 또한 홍역 위험이 있는 지역 여행 전에는 예방접종 여부를 확인하고 접종을 하지 않았거나 불확실한 경우에는 출국 4~6주 전 2회 접종을 모두 마쳐야 한다.

예방접종 여부는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https://nip.cdc.go.kr)에서 회원 가입 후 예방접종 내역조회 카테고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예방접종 등록 사업이 2002년부터 시행되었고 예방접종 전산 및 이전 자료 등록 여부가 접종 기관마다 다르므로 이전 기록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과거 접종한 의료기관 혹은 관할 보건소에 문의를 해서 확인하면 된다.

[사진=질병관리본부]

최재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