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독립유공자 묘소 국가가 관리…대상자 절반 소재지 확인.

보훈처, 산재묘소 종합관리계획 상반기 중 마련

전국에 산재한 독립유공자 묘소를 국가가 직접 관리한다.

국가보훈처는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국립묘지 이외 전국의 독립유공자 산재 묘소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22일 밝혔다. 보훈처는 오는 3월께 마련될 산재 묘소 관리 방안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독립유공자 등의 산재 묘소 종합관리계획을 상반기 중에 마련할 예정이다.

보훈처는 연구용역을 통해 산재 묘소의 관리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의 전사자 묘역 관리 사례를 분석해 합동묘역 및 산재 묘소의 체계적 관리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보훈처는 2015년부터 현재까지 5,360명의 독립유공자 묘소 실태조사를 벌여 3,399개 묘소 소재지를 확인했다. 그러나 총 포상자 1만 5,180명 중 7,761명(51.5%)의 묘소 소재지가 확인됐으며, 7,307명(48.5%)의 묘소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관련기사



보훈처는 “소재 미확인 묘소에 대해서는 독립유공자 후손 찾기 사업 등과 연계해 소재지를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산재 묘소 실태조사를 지속해서 실시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보훈처는 체계적인 산재 묘소 관리를 위해 국립묘지법 개정도 추진하고 있다. 보훈처는 서울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 등 독립유공자 합동묘역을 국가관리 묘역으로 지정해 국가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국립묘지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보훈처는 “합동묘역의 소유자와 관리자 또는 유족이 국가관리 묘역 지정을 요청하면, 국가보훈처장이 실태조사 등의 절차를 거쳐 국가관리 묘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며 “합동묘역이 국가관리 묘역으로 지정되면 예산과 전담인력을 통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