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직항 입국 10만명당 1.4명 '감염병' 안고 들어와

'2017년 환자 발생률' 보고서

뎅기열 등 내외국인 환자 529명

지역별 발생률은 아프리카 1위

외국에서 직항 비행기로 입국하는 약 10만명 중 1.4명은 뎅기열, 말라리아 등의 감염병을 안고 들어오는 것으로 분석됐다.

23일 질병관리본부의 ‘2017년 국가별 국외유입감염병 환자 발생률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7년 해외에서 홍역, 뎅기열 등의 감염병에 걸린 후 국내로 입국한 내외국인은 총 529명이었다.

이들 환자가 입국 전 방문한 지역은 아시아가 415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아프리카 80명, 아메리카 15명, 유럽 10명, 중동 5명, 오세아니아 3명 등이었다. 주요 유입국은 필리핀(112명), 베트남(69명), 태국(45명), 인도(40명), 라오스(26명), 중국(24명) 등 주로 아시아 국가였다. 이를 바탕으로 직항 비행기 입국자 10만명당 국외유입감염병 발생률을 산출한 결과 1.36명이 나왔다.




직항 비행기 입국자 10만명당 국외유입감염병 발생률을 지역별로 보면, 아프리카가 381.61명으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아프리카를 여행할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감염병에 걸려 돌아올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아시아는 1.33명, 중동은 1.01명이었고, 아메리카와 유럽, 오세아니아는 0.36∼0.42명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발생률이 낮았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인도가 10만명당 22.1명으로 가장 높았고, 동남아시아의 미얀마(19.0), 라오스(13.0)가 그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해외여행객 증가에 따라 국내로 유입되는 감염병도 점차 증가하고 있어, 지역·국가별 해외유입 감염병 발생률을 활용해 효율적으로 감염병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2017년에 발생한 해외유입 감염병을 종류별로 보면, 뎅기열이 171건(32.4%)으로 가장 많았다. 그외 말라리아 79건(15.0%), 세균성이질 69건(13.1%), 장티푸스 50건(9.5%), A형 간염 37건(7.0%), 파라티푸스 19건(3.6%), 수두 17건(3.2%),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16건(3.0%), 라임병 13건(2.5%), 지카바이러스감염증 11건(2.1%) 등이 보고됐다.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