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일상적 아스피린 복용, 오히려 해로울 수도"

영국 KCL 연구 결과 "아스피린 복용시 내출혈 발병 비율 높아져"

영국 ‘킹스칼리지 런던’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별다른 질병이 없는 건강한 성인이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하는 것은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고 24일 외신들은 전했다. /이미지투데이영국 ‘킹스칼리지 런던’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별다른 질병이 없는 건강한 성인이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하는 것은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고 24일 외신들은 전했다. /이미지투데이



별다른 질병이 없는 건강한 성인이 아스피린을 매일 먹는 것은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4일(현지시간) 인터넷매체 ‘뉴 아틀라스’ 등 외신은 영국 ‘킹스칼리지 런던(KCL)’의 과학자들이 주도한 연구에서 이와 같은 결론이 나왔다고 전했다. 아스피린은 심부전, 뇌졸중 등 여러 질환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고령자는 매일 복용하는 게 좋다고 의사들은 권고한다.

그런데 연구에 따르면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하면 심부전이나 뇌졸중 위험은 낮아지지만, 중증 내출혈 위험은 오히려 높아진다. 연구팀은 환자 16만4,000여명이 참여한 총 13건의 기존 임상시험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메타 연구(meta-study)’ 기법으로 다시 분석해 보았다. 조사 대상자들의 연령은 평균 62세(최하 53세 최고 74세)였다. 연구팀은 약 절반에 이르는 의료 데이터를 5년 이상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스피린을 먹지 않는 사람의 경우 1만명당 61명(0.61%)꼴로 심부전이나 뇌졸중이 발병됐다. 반면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한 사람은 같은 문제가 생길 확률이 1만명당 57명(0.57%)꼴로 0.04%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할 때 그렇지 않을 때보다 심부전이나 뇌졸중 발병률이 6.6% 차이가 난다는 것을 뜻한다.

관련기사



그러나 심한 내출혈을 일으킨 비율을 보면 아스피린을 먹지 않을 때는 1만명당 16명(0.16%)이었고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할 때는 1만명당 23명(0.23%)이었다. 아스피린을 복용할 경우가 0.07% 포인트 높아졌는데 이는 48.3% 차이다.

영국 ‘개방대학(Open University)’의 케빈 맥콘웨이 교수는 이러한 결과에 대해 “해당 환자가 얼마나 많은지 그리고 그 질환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생각하면 (아스피린 복용으로 떨어지는) 4%도 의미가 있다”면서도 “해로운 부분은 내출혈의 증가인데 여기엔 뇌출혈, 위출혈, 장 출혈 등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내출혈(internal bleeding)은 혈액이 피하나 점막에서 나오는 것으로, 근육·관절강·뇌·복강·흉강 등 여러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보고서를 주도적으로 작성한 KCL의 한 연구원은 “심혈관계 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게 심부전이나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다면서 아스피린의 일상적 복용을 권고할 만한 증거가 충분치 않다는 게 입증됐다”면서 “환자와 의사가 잠정적 이익과 불이익을 충분히 상의해 복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