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제철 지난해 사상최대 매출에도 영업이익은 급감

매출 8.4% 늘어난 20조7,804억원

영업이익은 25% 즐어 1조261억원

통상임금 소송비용에 발목잡혀

현대제철이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25%나 줄었다. 지난해 3·4분기 반영한 통상임금 소송금액의 영향때문이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연결 기준 전년대비 8.4% 늘어난 20조7,80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사상 최대 매출이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1조261억원으로 전년대비 25% 감소했다.


현대제철의 매출 확대는 고부가 글로벌 자동차 강판 및 조선용 후판, 내진용 강재 H CORE 제품 판매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영업이익의 감소는 지난 3·4분기 반영한 통상임금 소송 비용 때문이다. 현대제철은 앞서 지난해 10월 25일 선고된 통상임금 소송 일부 패소 결정에 따라 3,186억원의 충당금을 반영했다. 만약 충당금이 없었더라면 올해 영업이익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관련기사



현대제철은 올해 자동차 강판 시장확대에 총력 대응하고 미래 신기술 개발 확대를 통해 경쟁력을 고도화해나갈 계획이다. 특히 현대차그룹의 2030년 연간 50만대 규모의 수소전기차 생산체제 로드맵에 맞춰 수소경제사회 신수요 대응을 위한 사업역량을 강화한다. 이미 4월 양산을 목표로 6,000대 규모의 수소연료전지 금속분리판 증설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추가 투자를 통해 2020년에는 1만6,000대 수준의 생산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2016년부터 제철소 부생가스를 활용한 연산 3000만t 규모의 수소 생산공장을 가동 중이다.

철강산업 환경변화에 대응한 고부가·고수익 강종 개발도 가속화한다. 회사는 지난해 충돌 안정성 확보를 위한 100K급 핫스탬핑강 및 LNG탱크용 극저온 보증 철근을 개발했다. 제철소 부산물을 재활용한 시멘트 대체재 개발, 전기차 폐배터리를 활용한 1MWh급 에너지저장설비 구축해 친황경 제철소를 입지를 다질 계획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건설 및 자동차 산업의 부진이 계속되고 환경규제,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 등 경영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 및 생산성 내실화, 지속적 원가절감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말했다./박한신 기자 hspark@sedaily.com

박한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