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중앙銀 디지털화폐 발행 시기상조"

한은 "현금사용 20%...나설때 아냐"

한국은행이 국내 여건상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발행할 필요성이 낮다고 평가했다. 소액결제 시장이 독점화할 가능성이 낮고 일반 은행의 정보통신 인프라 수준도 높아 굳이 중앙은행이 나설 단계는 아니라는 판단이다.


한은은 29일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보고서에서 “현시점에서 우리나라가 가까운 장래에 CBDC를 발행할 필요성은 크지 않다”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나 유럽중앙은행(ECB), 일본은행(BOJ) 등 주요국 중앙은행도 마찬가지”라고 밝혔다. CBDC는 블록체인 등 기술을 이용해 전자 형태로 발행하는 중앙은행 화폐다. 한은은 지난해 1월30일 가상통화연구반을 출범시켜 가상통화와 CBDC 연구를 1년간 진행했으며 이 같은 결론과 함께 연구조직을 폐지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한은은 CBDC를 발행할 마땅할 동기가 없다고 봤다. 한국의 은행 지점과 관련한 정보통신 인프라가 세계적 수준이고 소액결제 관련 기관이 8개 신용카드사를 비롯해 시중은행·전자금융업자 등 다양하다는 점, 현금사용 비중이 20% 수준에 달해 아직 현금 없는 사회로 가기에는 이르다는 부분을 이유로 꼽았다. 반면 CBDC를 추진하는 스웨덴의 경우 소액결제 업체의 독점 가능성이 높다. 우루과이·튀니지 등은 금융 접근성 등 인프라가 열악해 도입을 검토 중이다.

한은은 CBDC를 발행할 경우 은행 간 지급결제에서 발생하는 신용 리스크가 줄고 현금에 비해 거래 투명성이 높아지면서 통화정책 여력을 확충할 수 있는 부분을 장점으로 꼽았다. 부작용도 예상된다. 은행 자금중개기능이 약화하고 금융시장 내 신용배분 기능이 축소될 가능성 등이다. 중앙은행으로 정보가 집중되면서 개인정보 보호문제나 통화 정책상 마이너스금리를 부과할 경우 재산권 침해 문제가 불거질 가능성도 제기했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지급결제 환경 변화에 대비해 CBDC 관련 연구는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