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광주형 일자리 타결]공장 가동해도 임금 등 분쟁불씨 여전...성공 미지수

현대자동차와 광주광역시가 한 달여를 끌어온 광주형 일자리 투자협상을 극적으로 타결했지만 공장이 실제 가동되더라도 임금 등 근로조건을 둘러싼 노사 분쟁 가능성이 여전해 사업이 성공할지는 미지수다. 전문가들은 노사관계를 주도할 광주 지역 노사민정의 협상 역량에 물음표를 던지는 상황이다.

30일 광주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 따르면 광주형 일자리 공장 착공은 부지 용도변경을 비롯한 각종 인허가 과정을 거쳐 이르면 올 가을께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와 광주시의 합작법인이 실제로 완성차를 생산하기까지는 2~3년이 걸린다는 전망이 많다. 계획대로라면 이 공장은 연간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10만대를 생산하고 정규직 1,000명을 고용한다.


신설법인이 본격 생산에 들어간 후 근로조건은 이 법인 노사상생협의회에서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지역 노사민정협의회를 통해 노사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광주형 일자리 모델 설계에 관여했던 박명준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역 노사민정협의회가 얼마만큼의 협상 역량을 갖췄는지가 관건”이라며 “지역 노사민정 협상이 불발하면 언제든 노사 분쟁이 야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광주형 일자리의 모델인 독일 ‘아우토 5000’ 사업은 폭스바겐 티구안이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면서 성공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광주 빛그린산업단지에 조성될 새 공장에서 만드는 완성차가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어야 한다는 점이 변수다. 민주노총과 현대차 노조는 “국내외 소비자들이 대형 차량을 선호해 경형 SUV는 시장에서 인기를 끌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광주형 일자리 같은 지역 노사상생형 일자리 사업을 다른 지역에도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부산에는 르노자동차의 초소형 전기차(트위지) 위탁생산 공장을 추진하며 전력 반도체 파운드리(수탁생산) 공장도 건설할 예정이다. 한국GM 공장과 현대중공업 조선소가 문을 닫은 전북 군산에는 군산항 중고차 수출복합단지와 조선기자재 업체를 위한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등이 조성된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