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학생회·학생단체 “故 김용균 비극 막으려면 정규직화만이 길”

“죽음의 외주화·민영화를 중단...정부가 직접 노동자들 안전 책임져야”

충남 태안화력발전소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던 김용균씨가 숨진 지 49일째인 지난 27일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고인의 49재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충남 태안화력발전소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던 김용균씨가 숨진 지 49일째인 지난 27일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고인의 49재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태안 화력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였던 김용균씨의 사망사고와 관련해, 전국의 대학 학생회와 학생단체도 비정규직의 조속한 정규직화를 촉구하며 들고 일어섰다.


이화여대 총학생회, 비정규직 없는 서울대만들기 공동행동을 비롯한 49개 학생회·학생단체는 31일 서울 광화문광장에 마련된 김씨 분향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하청 비정규직을 고용하며 위험의 외주화를 계속하는 한, 법이 아무리 바뀌어도 참사는 재발할 수밖에 없다”고 외쳤다.

관련기사



이들은 이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 “지난 5년간 발전소에서 일어난 산업재해 346건 중 97%는 하청노동자에게 발생한 사고였다”며 “비정규직이라는 고용 형태와 산재 사고가 무관하다고 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이어 안전은 고려하지 않은 채 ‘수익성과 이윤 극대화’만을 목적으로 한 정비 업무 외주화가 참사를 초래했다며 “또 다른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목숨을 잃기 전에 하루빨리 원청 소속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이들은 “문재인 대통령이 진심으로 김용균 씨와 같은 비극이 더는 발생하지 않길 원한다면, 설 명절 전 장례를 치르고 싶다는 유가족의 목소리를 듣고 있다면, 지금 당장 비정규직 철폐를 약속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죽음의 외주화·민영화를 중단하고, 정부가 직접 노동자들의 안전을 책임져야 한다”며 “이것이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죽음을 끝낼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변문우인턴기자 bmw1017@sedaily.com

변문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