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장소로 베트남이 유력시 되면서 베트남의 경제 성장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북미 간에 비핵화와 제재 완화 ‘빅딜’이 성사 될 경우 베트남이 북한의 경제 개방 및 성장 롤 모델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다.
3일 코트라에 따르면 베트남의 지난 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7.08%를 기록했다. 이는 베트남 정부는 물론 여러 국제금융기구가 제시했던 전망치를 크게 상회 하는 수준이다. 베트남 정부의 전망치는 6.5~6.7%였고, 국제통화기금(IMF)은 6.6%, 세계은행은(WB) 6.8%, 아시아개발은행(ADB)은 7.1%를 제시했었다.
베트남은 또한 지난 해 68억 달러 수준의 무역 흑자를 달성했다. 사상 최대치로, 전자·섬유 등 노동집약산업의 성장세 덕분이었다. 게다가 베트남 정부는 베트남의 수출 성장을 FDI(외국인직접투자) 기업들이 이끌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 외국인 투자자에게 보다 유리한 사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체제 정비, 구조조정, 관련법 개정 등을 추진 중이다. 이 같은 정부 방침이 빛을 발한다면 경제 성장세는 더 탄탄해질 전망이다. 지난 해의 경우 베트남 수출액에서 FDI 기업군의 기여도는 70%에 달했다.
서비스산업도 성장세다. 베트남 통계청의 추산치에 따르면 지난 해 상품·서비스 시장의 소매 매출 규모는 약 1,699억2,761만 달러로 전년대비 12.7% 증가했다. 코트라 측은 “베트남 유입 해외 여행객 증가와 함께 현지 소비자들의 소득 증대에 따른 여행·외식 수요 확대가 해당 부문 매출 향상을 이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수출과 내수가 동시 성장하는 가운데 베트남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 목표치를 6.8%로 설정했다. 수출과 내수 성장의 선순환이 지속 된다면 올해도 정부 목표치를 넘어 7%대 성장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지로 베트남이 확정된다면 베트남의 경제 성장세도 함께 조명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 담판을 계기로 제제의 벽을 낮춘 후 경제 성장의 길로 본격 나가고 싶어하는 상황에서 베트남이 북한의 경제 성장 롤 모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이에 더해 베트남과 북한이 둘 다 아시아 지역의 사회주의 국가라는 점, 이데올로기 내전을 겪은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양국을 비교하는 분위기는 더 클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은 지난 1986년 ‘사회주의적 시장경제’를 목표로 내걸고 ‘도이머이(쇄신)’에 나선 후 경제 성장의 길을 걷고 있으며, 미국과의 적대적 관계도 청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