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청소년 비즈쿨, 이론 중심서 체험위주로 전면 개편

중기부, 청소년 비즈쿨 지원사업 26일까지 접수

미래 창의인재인 청소년들에게

기업가 정신, 창업·경제교육 실시




미래 창의 인재인 청소년에게 창업 및 경제교육을 지원하는 ‘청소년 비즈쿨’ 사업이 체험 위주로 전면 개편된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은 올해 400여 개 학교를 비즈쿨로 지정해 △창업·경제교육 △문제해결 체험활동 △창업동아리 △전문가 특강 등을 지원하는 ‘청소년 비즈쿨 지원사업’을 7일 발표했다.


청소년 비즈쿨 지원사업은 청소년들이 스스로 미래를 설계해 창의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비즈쿨은 ‘비즈니스(Business)’와 ‘스쿨(School)’의 합성어로 학교에서 경영을 배운다는 뜻이다.기업가 정신·모의 창업 등을 가르쳐 도전정신과 문제해결능력 등을 향상 시키는 것이 사업의 주된 목적이다. 2002년부터 시행됐으며 올해 배정된 예산은 76억원이다.

비즈쿨 학교로 지정되면 기업가정신 교재, 창업동아리 운영을 위한 재료비와 체험활동비, 전문가 강사비 등을 지원받는다. 학교당 4백만원부터 최대 1억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올해부터는 이론교육에서 벗어나 체험·실습 위주로 개편했다.

관련기사



교실수업에서 벗어나 100만명(연인원)의 청소년들이 메이커스페이스, 찾아가는 체험교실 등을 통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새롭게 다가온 로봇·드론·아두이노 등을 직접 만들어볼 수 있다.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가 품고있는 꿈과 끼를 비즈쿨 지원사업을 통해 마음껏 발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비즈쿨 교사들의 건의를 반영해 지정기간도 1년에서 2년으로 늘렸다. 1년간의 사업 성과를 평가해 1년 연장하는 방식이다.

이런 개편안은 지난해 4차례에 걸친 전문가 포럼을 통해 마련됐다. 중기부 관계자는 “기업가정신은 창업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회 모든 영역에 적용되는 시대정신”이라며 “비즈쿨을 통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가 많이 육성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청소년 비즈쿨 사업에 참여하고 싶은 전국의 초·중·고(학교밖지원센터)에서는 오는 26일까지 K-스타트업 사이트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중기부 벤처혁신기반과와 창업진흥원 창업교육부로 문의하면 된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