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DMZ 도보여행 길 등 조성...접경지에 11년간 13조 투자

관광활성화 포함 225개 사업

경기도 연천군 중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에서 군장병들이 남방한계선 경계시설물을 점검하고 있다. /연천=연합뉴스경기도 연천군 중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에서 군장병들이 남방한계선 경계시설물을 점검하고 있다. /연천=연합뉴스



군사 안보와 규제 등으로 개발이 정체된 접경지역을 발전시키기 위해 정부가 13조원을 투입한다.

행정안전부는 접경지역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을 변경하고 13조2,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바뀐 계획은 남북교류·협력 기반 구축, 균형발전 기반 구축, 생태·평화 관광 활성화,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확충 등 4대 전략에 따라 오는 2030년까지 225개 사업에 국비 5조4,000억원, 지방비 2조2,000억원, 민자 5조6,000억원을 투입하는 내용이다.


남북교류·협력 기반 구축에 가장 많은 5조1,000억원을 쓴다. 최근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에 포함된 영종도~신도 평화도로는 2024년까지 왕복 2차로로 건설된다. 접경지역에 산업단지 조성, 구도심 환경개선, 청년 창업·창작공간 지원 등 균형발전 기반 구축과 관련한 54개 사업을 위해 3조4,000억원이 투자된다.



관광 활성화 사업비는 총 3조원 규모다. 비무장지대(DMZ) 인근 도보 여행길, 한탄강 주변 주상절리 협곡 생태체험공간, 양구 펀치볼 관람 곤돌라와 전망대, 병영 체험공간 등이다.

생활 SOC 확충에는 1조7,000억원을 투입한다. 권역별 거점 10곳에 다용도 복합 커뮤니티센터를 짓고 도시가스가 없는 지역에 액화석유가스(LPG) 저장시설·공급관을 설치하는 등의 사업이다.

행안부는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은 2011년에 처음 수립됐고 지난해까지 8년간 접경지역에 2조8,000억원이 투자됐다”며 “군부대 협의, 다른 계획과의 연계, 타당성 검토 등을 거쳐 이번 계획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