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넷플릭스 사용자 급증에 KT도 해외망 증설 나서

트래픽 몰리는 시간 화질 떨어져

한국-동남아 구간 2배 가량 확충

넷플릭스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KT가 이달 해외망 증설에 나선다. SK브로드밴드가 지난달 넷플릭스용 해외망을 2배로 늘린 데 이어 KT까지 가세한 것이다.

7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KT는 이달 중 해외망 증설을 준비 중이다. 망은 넷플릭스 서버가 구축된 동남아시아 국가와 한국 간 사용하는 구간이며 증설은 2배가량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방식은 신규 구축 혹은 기존망 임차 형태이다. KT 측은 망 증설 계획은 맞지만, 규모와 방식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KT가 망 증설에 나서는 이유는 넷플릭스의 안정적인 서비스 때문으로 보인다. 최근 넷플릭스 이용자가 크게 늘면서 해외 트래픽이 몰리는 시간대에 화질과 속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앱 분석업체 와이즈앱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넷플릭스 앱 이용자는 지난해 1월 34만명에서 12월 127만명으로 1년 새 4배 가까이 증가했다. 넷플릭스가 서비스하는 동영상이 풀HD에서 UHD급으로 진화하면서 데이터 용량도 급증하는 추세다. KT 관계자는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 해외 콘텐츠를 이용하는 통신가입자들의 속도와 화질 개선 요구가 꾸준히 있었다”며 “이용자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해외망 증설을 계획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넷플릭스로 인한 통신사의 해외망 증설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SK브로드밴드는 지난달 25일 넷플릭스용 해외망 용량을 50Gbps에서 100Gbps로 2배 증설한 바 있다. SK브로드밴드 관계자는 “넷플릭스 등 해외콘텐츠 이용자가 크게 늘면서 일부 시간대 접속이 지연되거나 화질 저하 현상이 발생했다”며 “안정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해 해외망을 증설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통신사들의 망 증설이 이어지고 있지만 망 사용료 협상은 여전히 더딘 상황이다. SK브로드밴드가 지난달 페이스북과 망 사용료 계약을 체결하면서 돌파구를 마련했지만 구글·넷플릭스 등은 여전히 미온적이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구글에서 망 사용료와 관련 통신이용자들이 이미 부담하고 있어 콘텐츠사업자가 이중으로 낼 필요가 없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며 “유튜브를 앞세운 구글이 협상력에서 우위를 지니고 있는 만큼 망 사용료 협상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