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경영효율화 바람..대기업 계열사 석달새 23개 감소

경영 효율화 바람에 최근 3개월 간 대기업집단 소속 계열사 수가 23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1일 기준 자산 5조원 이상 60개 대기업집단의 소속회사가 모두 2,057개로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3개월 동안 67개가 새로 편입되고 90개 제외돼 총 23개가 순감했다. 공정위는 공정거래법에 따라 매 분기마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및 공시대상기업집단 계열사의 변동현황을 공개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26개 대기업집단에서 회사설립(28개), 지분취득(25개) 등의 이유로 67개사를 계열사로 편입했다. 새로운 주력 먹거리로 떠오르고 있는 전자상거래와 방송산업 분야에서 회사설립과 계열편입 사례가 많았다.

관련기사



신세계와 카카오, 네이버는 각 기업집단의 주력회사에서 전자상거래 사업 부문을 분할해 각각 신세계몰·이마트몰, 카카오커머스, N스토어를 새로 만들었다. 태영은 e-스포츠 관련 방송사업을 하는 SBS아프리카티비 아프리카와 합작설립했고 카카오는 연예매니지먼트사인 숲엔터테인먼트 등 5개사를 인수했다.

또 29개 대기업집단에서 총 90개사를 계열사에서 제외했다. 사유를 보면 흡수합병(38개), 청산종결(18개), 지분매각(13개) 등으로 경영 효율화를 위한 흡수합병이 가장 많았다. 기업집단 유진은 레미콘과 물류 사업 분야에서 유사 사업군을 통합하며 총 21개사를 계열 제외했다. 하림그룹도 농업회사법인인 선진한마을이 양돈 농업을 하는 3개 계열사를 합병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지난해 8~10월은 대기업집단 전체 소속 회사 수가 순증가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순감소했다”며 “회사의 경영 효율화를 위한 흡수합병 등이 활발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세종=빈난새기자 binthere@sedaily.com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