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정부, 2024년까지 가상현실로 도심 지하구 재난감지 시스템 개발

정부가 2024년까지 가상현실을 구현해 도심 지하시설의 재난 상황을 실시간 감지·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또 인천국제공항 등에서 위험인물, 감염병 의심자 등 위협요인을 감지해 자동 식별하는 첨단 정보통신(ICT)기반 출입국 행정융합 기술도 개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다부처협력특별위원회를 개최해 내년도 공동사업 3건과 민·군 부처연계사업 1건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다부처협력특별위원회는 여러 부처간 협력해야 할 공동연구사업 업무를 위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조직이다.


내년부터 시작할 다부처 공동사업은 디지털트윈 기반 화재재난 지원통합 플랫폼, 첨단 ICT기반 출입국 행정융합기술, 극한지 개발·탐사용 이동체 시스템 등 3건이다. 디지털트윈 기반 화재재난 지원통합 플랫폼은 가상공간을 구현해 지하시설의 재난 상황을 실시간 감지하는 시스템이다. 가스·전기·통신 등 도심 지하에 공급하는 시설물의 재난 상황을 조기에 파악하고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사업기간은 2024년까지이며 예산은 345억원 가량이다. 첨단 ICT기반 출입국 행정융합기술은 테러리스트 등 위험인물의 입국이나 메르스 등 감염병의 국내 유입을 막기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위험 여부를 자동 식별하는 시스템이다. 사업기간은 2024년까지이며 예산은 195억원 가량이다. 극한지 개발·탐사용 이동체 시스템은 남극, 북극 등 특수한 환경을 조사하기 위해 사물인터넷(IoT), 로봇 , 드론 등을 활용한 이동체를 개발하는 연구 프로젝트다. 사업기간은 2024년까지이며 예산은 410억원 가량된다.

관련기사



민간과 군이 협력해 진행하는 복합신호기반 인체-기계 고속동기화 제어기술은 인간의 신체기능을 강화하는 착용로봇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방위사업청은 병사들의 근지구력을 높이고 산업근로자의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업기간은 2024년까지이며 소요예산은 117억원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해당 사업들은 내년부터 예산을 확보해 정부 R&D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