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中진격 속도내는 삼성바이오에피스

中최대 헬스케어 벤처펀드 운용사와 바이오시밀러 판권계약

미국과 유럽에 주력했던 국산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가 중국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11일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중국 벤처펀드 운용사 C브릿지캐피탈과 바이오시밀러 판권계약을 위한 업무협력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중국 의료법상 현지에 진출하려면 합작사 설립이 필수적인 만큼 조기 진출을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번 협력으로 C브릿지캐피탈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개발했거나 개발 중인 바이오시밀러 3종(SB3·SB11·SB12)의 중국 내 임상과 출시를 위해 공동 협력에 나설 계획이다. 임상과 인허가는 C브릿지캐피탈이 설립하는 바이오기업 에퍼메드테라퓨틱스가 담당한다. 지난 2014년 설립된 C브릿지캐피탈은 중국 최대 규모의 헬스케어 벤처펀드 운용사다. 바이오의약품, 의료기기, 진단 등 헬스케어 서비스 전 분야에서 약 2조원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달에도 중국 바이오기업 3S바이오와 항암 바이오시밀러 ‘SB8’의 중국 출시를 위한 업무협력을 맺었다. 지난 1993년 설립된 3S바이오는 지난해 약 6,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중견 바이오기업이다. 2015년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했고 약 30여종의 신약 후보물질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과 이탈리아에 항체의약품을 제조할 수 있는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도 운영 중이다.


앞서 셀트리온은 지난 2017년 셀트리온은 지난 2017년 중국 타슬리제약과 현지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타슬리제약은 연매출 2조5,000억원 규모의 중국 10위권 제약사다. 셀트리온은 합작법인에 이어 향후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도 구축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앞서 2017년 5월 중국식품약품감독관리국(CFDA)로부터 해외 기업 최초로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의 임상시험을 허가받았다.

관련기사



국내 바이오시밀러 전문기업이 중국으로 눈을 돌리는 것은 고령화와 소득수준 증가로 상대적으로 고가인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서다. 시장조사업체 이밸류에이트파마에 따르면 중국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지난 2011년 594억위안(약 9조8,500억원) 수준이었지만 연평균 18%의 성장률을 기록해 오는 2020년에는 3,333억위안(55조3,000억원)으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고한승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장은 “임상, 인허가, 상업화 등에서 역량을 보유한 중국 바이오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중국 바이오의약품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입하고 사업을 확대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보다 많은 환자에게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생산하는 고품질의 바이오 의약품을 통한 치료 기회를 조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